code:05tg
device:MOBILE
close_button



코스피

2,494.90

  • 63.08
  • 2.47%
코스닥

679.88

  • 13.88
  • 2%
1/4

청년 첫 취업 늦어지는데...독립은 더 늘었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청년 첫 취업 늦어지는데...독립은 더 늘었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청년 첫 취업 늦어지는데독립은 더 늘었다


    1980년대생부터는 여성이 고등교육 이수율에서 남성을 앞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청년 첫 취업 시기가 늦어지는 등 생애과정이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국가통계연구원은 이달 이런 내용의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교육·취업' 보고서를 발간했다. 1970∼1994년생 청년 세대를 5년 단위 코호트(cohort·공통된 특성을 가진 사람들 집단)로 나눠 교육 수준, 고용, 자립 시기 등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1970년대생 남성의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은 여성보다 높았지만, 1980년생부터는 여성이 더 높았다.


    1980∼1984년생의 대학 졸업 이상 비율은 남성에서 69.4%, 여성에서 72.1%로 집계됐다. 1985∼1989년생의 경우 각각 남성은 72.2%, 여성은 77.3%였다.


    1990∼1994년생의 경우 여성의 대학 졸업 비율이 78.5%로, 남성(65.3%)보다 13%p 이상 높을 정도로 점점 더 크게 벌어졌다.


    늦게 태어난 세대일수록 성별 대학 졸업 이상 학력자 비중 차이가 더 벌어진 것이다.

    이는 각 세대가 31∼35세일 때를 기준으로 집계한 것이다. 다만 나이가 어린 1990∼1994년생은 26∼30세를 기준으로 했다.


    대졸자 중 대학원 진학 비율에서도 1980년대생부터 여성이 남성을 앞섰다.

    청년 취업 시기는 갈수록 늦어졌다.

    첫 취업 연령을 코호트별로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25∼29세인 시점을 기준으로 봤을 때 1975∼1979년생에서는 22.12세, 1980∼1984년생은 22.72세였으나 1985∼1989년생은 23.4세로 높아졌다. 1990∼1994년생은 23.36세로 비슷했다.

    일하지 않고 교육도 받지 않는 청년 비율은 모든 세대에서 20세 이후 20% 이상을 기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공무원 시험 또는 기업 입사 준비를 하는 청년, 좋은 일자리를 찾는 중인 청년 등이 여기 포함된다.

    보고서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률을 볼 때 20대 중후반에 수도권으로 이동이 증가하는 현상은 비수도권에 좋은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점에 기인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청년들의 자립의 경우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청년 비율이 최근 세대로 올수록 높아지는 추세다. 다만 가장 최근 세대(1990∼1999년생)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다.

    최근 정부의 청년 주거 지원이 독립을 촉진했을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짚었다. 단, 이런 경향이 단기적인지 장기적인지 확인하고 장기적 경향이라면 심층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