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핵심인사들이 민간 메신저 '시그널'(Signal)에서 전쟁계획을 논의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된 가운데 해당 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AFP 통신은 25일(현지시간) "시그널은 세계에서 가장 보안성이 뛰어난 인터넷 모바일 메신저로 꼽히지만 백악관 당국자들이 사용할 것을 염두에 두고 고안되지는 않았다"고 보도했다.
시그널은 2014년 출시됐다. 모든 메시지에 종단간 암호화(end-to-end encryption·E2EE)가 적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발신자와 수신자만이 서로 공유한 암호키를 활용해 본래의 내용을 볼 수 있어 해커가 서버나 인터넷 서비스 업체 등을 공격해 메시지를 중간에서 가로채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기 어렵다.
텔레그램이나 왓츠앱, 애플 아이메시지 등도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시그널은 기술 대기업이 아니라 독립적 비영리 기구인 시그널 재단의 통제를 받아 더 신뢰할 수 있다고 AFP는 짚었다.
시그널은 메시지가 언제, 누구에게 전달됐는지 등의 메타데이터(metadata·다른 데이터를 설명해 주는 데이터)조차 서버 측에서 열람할 수 없도록 한다.
반면 다른 기업들은 이런 부분에서 철저하지 않아 왓츠앱은 사용자 전화번호와 모바일 기기 정보, IP 주소 등 관련 데이터를 모기업인 메타 및 제3자와 공유한다.
이런 점 때문에 시그널은 언론인이나 정치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과거 댓글 여론조작 혐의 수사에서 시그널을 통한 대화가 포착됐다.
그렇다고 국가기밀 등과 관련한 핵심 정보를 논의할 보안 수준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마이클 대니얼 전 백악관 사이버안보 조정관은 "시그널은 매우 견고한 플랫폼이지만 결코 군사계획을 논의하는데 쓰이도록 만들어지거나 의도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문제는 앱 자체보다는 주변 환경에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니얼 전 조정관은 "이것(메시지)들이 안전한 방식으로 저장되지 않았거나 적절히 보호되지 않는 개인기기에 있다는 게 더 문제"라고 말했다.
시그널 개발에 관여한 존스홉킨스대학 소속 암호 전문가 매슈 그린은 시그널 보안수준을 '군사등급'으로 높이려면 "많은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시그널을 민감한 정보가 오가는 보물상자로 인식하는 해커들이 늘어나 "시그널이 너무 많은 이들로부터 목표물이 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시그널의 개발과 운영 비용은 대부분 보조금과 기부금으로 충당된다. 시그널은 홈페이지에서 "우리는 어떤 기술 대기업과도 연결돼 있지 않으며, 이중 어느 곳에 인수되는 일도 결코 없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