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배달 중개수수료를 2% 아래로 낮춘 공공배달 서비스를 내놓는다.
서울시는 18일 배달앱 운용사인 신한은행, 시범 자치구 등과 함께 '서울배달+땡겨요' 활성화를 위한 상생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시는 공공배달 서비스 활성화 계획 수립과 홍보 등 행정적 지원을 담당하며, 관악구와 영등포구, 강남구 등 시범 자치구는 운영 지원과 함께 가맹점을 확대하고, 소비자 서비스를 강화하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서울배달+땡겨요의 가맹점 확대를 위해 낮은 배달 중개수수료와 쿠폰 지원금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소상공인 단체와 배달대행사는 각각 가맹, 배달 지원과 함께 공공배달 서비스 홍보에 협력하기로 했다.
공공배달 서비스 '서울배달+땡겨요'는 시가 지난해 말 발표한 소상공인 힘보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낮은 배달 중개수수료를 통해 소상공인의 부담을 줄이고 민생경제 안정화에 기여하는 사업이다.
시는 지난 1월 공모를 거쳐 서울배달플러스(+) 민간 운영사로 신한은행의 '땡겨요'를 선정한 바 있다.
민간 배달플랫폼의 중개수수료가 최대 9.8%에 달하지만, 서울시의 배달플랫폼은 수수료율을 2% 아래로 낮춘 것이 특징이다.
시는 시범자치구를 중심으로 소비자와 소상공인이 함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공공배달 생태계 구축을 본격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새로운 슬로건 '배달을 땡기면 혜택은 플러스'와 함께 적극적인 홍보 활동도 펼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서울 전 자치구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서울배달+땡겨요는 구글플레이, 앱스토어에서 땡겨요 앱을 내려받거나 서울페이플러스(서울Pay+) 또는 신한은행 쏠뱅크(SOL뱅크) 앱에서도 연동해 이용할 수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몇몇 민간 플랫폼 주도의 시장구조로 인해 수수료가 높아지고 자영업자와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부담을 안기는 악순환을 가져왔다"며 "공정한 시장 질서와 지속적인 배달 생태계 조성에 도움을 주는 서울배달+땡겨요를 서울 전역으로 확대해 민생경제 회복과 상생배달 문화를 선도하는 대표적인 배달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영상편집: 권슬기
CG: 차은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