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5tg
device:MOBILE
close_button



코스피

2,465.42

  • 21.28
  • 0.86%
코스닥

687.39

  • 3.90
  • 0.57%
1/3
『와우넷 오늘장전략』 연재 목록 보기 >

'상호관세 쓰나미' 미 시간외 급락...애플 -7% - 와우넷 오늘장전략

관련종목

2025-04-06 05:17
  •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현재가
    1,069,000
    전일대비
    44000
    3.95%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상호관세 쓰나미' 미 시간외 급락...애플 -7% - 와우넷 오늘장전략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상호관세 쓰나미 미 시간외 급락애플 7  와우넷 오늘장전략


    1. 증시 중요 뉴스
    1) 뉴욕증시, 상호관세 카운트다운·명확성 기대…동반 상승 마감
    -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기다리며 큰 변동성을 보인 끝에 동반 상승세로 마감
    - 트럼프 대통령은 장 마감 직후인 오후 4시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미국의 모든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한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한다. 이 조치는 즉시 발효될 예정
    - 스캇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전날 연방의회 일부 의원들에게 "상호관세가 '상한선' 역할을 할 것"이라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적용 가능한 관세율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발표하고 이후 각국과 협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

    2) 트럼프 "한국에 25% 관세 부과"…日 24%·中 34%·EU 20% [美 상호관세 본격화]
    - 그는 이날 연설에서 한국과 일본의 '비금전적 무역장벽'이 가장 최악이라고 언급했다. 근거가 부족한 주장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동맹이 적보다 미국에 더 나쁘게 하고 있다는 평소의 신념을 다시 한 번 반복
    - "오늘 각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세 번째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면서 "이는 미국을 그 어느때보다도 위대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경제 독립선언의 날"이며 "오랫동안 열심히 일한 미국 시민들은 다른 나라들이 부유해지고 강해지는 동안 그 대부분이 우리의 희생으로 이뤄지는 것을 지켜볼 수 밖에 없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우리가 번영할 차례라면서 "세금을 줄이고 부채를 갚을 것이며 이 모든 것은 매우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
    - 그는 "우리 노동자들이 수년 동안 겪어 온 악랄한 공격들"이라면서 오토바이에 대해 미국의 관세율은 2.4%이나 인도는 60%, 베트남은 70% 등을 적용하고 있다고 언급


    3) [뉴욕유가] 위험 선호 회복에 동조…WTI 0.72%↑
    - 2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0.51달러(0.72%) 오른 배럴당 71.71달러에 거래를 마감
    - 원유 시장 투자자들은 미국 증시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분위기였다. 미국 증시의 주요 주가지수가 1%대 하락세로 개장한 뒤 가파르게 급반등하면서 위험 선호 심리를 회복하자 원유 시장도 동반 강세
    - BMI의 분석가들은 "예상보다 약한 관세 조치가 브렌트유의 상당한 랠리를 이끌 가능성이 작다"며 "예상보다 강한 조치는 상당한 투매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의 균형은 하방으로 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4) 주식시장 꽁꽁 얼었는데…불붙는 LNG
    - 미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알래스카 가스 개발 등을 관세 회피를 위한 카드로 제안하고 있어서다. 천연가스 선물 가격은 지난 3월 18일 MMBtu(가스 열량 단위)당 4.05달러를 기록
    - LNG의 경우 연초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담 자리에서 관세 회피를 위한 카드로 구매를 제시하는 수준이었다면 이제는 미국과의 관계 유지를 위한 필수 확대 목록으로까지 몸집이 커졌다.
    -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가 베네수엘라 원유 수입국에 25% 관세를 매기기로 하는 등 전 세계 최대 석유·천연가스 보유국 중 하나인 베네수엘라 제재에 나선 것도 주목할 필요
    #SNT에너지, 한텍, 태광, 성광밴드, 비에이치아이
    5) '크보빵' 뜨자 SPC 삼립 11% 강세…음식료株 '훨훨'
    - 음식료주가 코스피 하락장에서도 상승 마감했다. '크보빵(KBO)' 흥행에 더해 내수주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영향
    - 이경신 iM증권 연구원은 "상대적으로 환율까지 고려된 해외 익스포저를 가진 기업의 내수대비 성장세는 견조한 상황"이라며 "밸류에이션 매력도는 여전히 유효하나 영업실적에 대한 시장 눈높이 상승여력을 고려하면 단기 주가에 흐름이 반영됐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했다
    -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수출이 우호적인 데다 정치 불확실성이 개선된 후 내수주가 개선될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라고 분석
    #SPC삼립, 빙그레, 농심, 삼양식품, 풀무원, 대상, 해태제과식품
    2. 전일 미국 · 유럽 증시
    - 다우산업 : 42225.32 (+235.36p, 0.56%)
    - S&P500 : 5670.97 (+37.9p, 0.67%)
    - 나스닥 : 17601.05 (+151.16p, 0.87%)
    - 영국 FTSE100 : 8608.48 (-26.32p, -0.3%)
    - 프랑스 CAC40 : 7858.83 (-17.53p, -0.22%)
    - 독일 DAX : 22390.84 (-149.14p, -0.66%)
    - 유로스톡스50 : 5303.95 (-16.35p, -0.31%)


    - 주요뉴스 및 시황
    - 뉴욕상품거래소에서 6월물 금 선물가격은 전날 대비 20.2달러(+0.64%) 상승한 온스당 3,166.20달러에 거래를 마감
    - 미국 국채 2년물 금리는 직전 거래일 대비 2.1bp 내린 3.842%를 기록
    -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직전 거래일 대비 2.9bp 내린 4.127%를 기록
    -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는 전장대비 0.06% 내린 103.94을 기록


    3. Today 관심 레포트
    -삼성바이오로직스: 우호적인 환율로 25년 시작 (유안타증권, BUY, 목표주가 130만원)
    - 연결 기준 매출액 1조 1,905억원(+25.7%YoY, 이하 YoY 생략), 영업 이익 3,265억원 (+47.5%, OPM 27.4%)로 컨센서스(매출액 1조 1,594억원, 영업이익 3,190억원)에 부합 하는 실적을 기록할 전망
    - 5공장 가동은 4월 중 시작할 예정으로 5공장 가동이 시작됨에 따라 연내 다수의 수주 계약 체결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 5공장 가동에 따른 인건비, 상각비 등의 영향은 1~3공장의 높 은 가동률 유지와 4공장 가동률 상승으로 인해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
    - 6공장 증설 목표는 27년으로 신규 공장 건설에 평균 2년 정도가 소요된다는 점에서 연내 6 공장 건설 발표도 있을 것으로 예상. 5공장 가동에 충분한 수준의 수주 계약 확보 된 후 6공 장 건설 발표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건설 발표를 통해 5공장의 충분한 수주를 확인할 수 있을 것


    - 한국콜마 : 미국 현지 생산 역량 강화 (NH투자증권, BUY, 목표주가 8.5만원)
    - 연초부터 미국법인의 약진이 돋보임. 미국1공장은 지난4분기를 기점으로 분기매출 200억원으로레벨업하며 흑자기조를 유지. 2공장은 2분기 신규가동에 따른 단기비용발생을 감안해도 중장기 미국법인 체력은 향상 될 가능성이 높다 판단
    - 해외 : 미국 매출액 202억원(+190% y-y), 영업이익 10억원 (흑자전환y-y) 추정. 1공장의 경우 1

    - 삼성전자 : 1Q25 영업이익 5.3조원 (-18% QoQ)으로 선방 예상 (SK증권, BUY, 목표주가 7.7만원)
    - 삼성전자의 1Q25 연결 영업이익은 5.3조원 (-18% QoQ)으로 시장 우려대비 선방 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D5 수요 강세 지속과 이구환신 및 Pull-in 수요가 동반되며 예상을 상회하는 DRAM 출하와 GS25 출시 효과에 따른 MX의 호조를 예상
    - HBM3e 재설계에 따른 예정된 HBM 출하 부진은 Mix와 이익 관점에서 부정 적이나 Legacy 출하 증가로 이익을 일부 방어할 것으로 판단한다. DRAM 대비 Contents growth 포인트가 상대적으로 부재한 NAND의 경우 출하, 가격 모두 부진 하며 적자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 2Q25 연결 영업이익은 5.8조원 (+10% QoQ)로 분기 실적 반등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한다. GS25 출시 효과의 희석과 비수기 및 경쟁 강도 심화에 따른 SDC의 부진은 불가피하나, 메모리 출하 반등과 D5 고정가격 상승, NAND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 시작에 따른 메모리 이익 반등으로 방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