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다음 이슈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엔비디아 대 엔비디아에 대항하는 기업연합 간 경쟁이 치열하게 격화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독주의 생태계를 벗어나야 한다는 위기감 때문인데요.
조 기자, 시장에서는 반(反) 엔비디아의 경쟁 가능성 어떻게 보고 있나요?
<기자>
현재 엔비디아는 AI 성능을 좌우하는 AI 반도체 시장을 80% 이상 점유하고 있죠. 그 배경에는 엔비디아가 구축한 생태계가 있습니다.
생성형 AI에 쓰이는 GPU(그래픽처리장치)뿐 아니라 AI 개발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쿠다(CUDA)'를 보유하고 있는데, 전 세계 개발자들이 AI 앱 개발을 위해 필수재로 사용합니다.
쿠다를 이용해 만든 AI 플랫폼은 엔비디아의 GPU에서만 돌아가고요. 성능을 따라잡은 새 AI 반도체가 나와도 결국 엔비디아를 선택하는 이유이자, 사실상 독점 공급 체제여서 부르는 게 값입니다.
엔비디아 AI 생태계에 균열을 내기 위해 구글과 인텔, 퀄컴, ARM 등 글로벌 빅테크와 삼성전자, 네이버 등 국내 기업까지 동참해 기술 컨소시엄(UXL·통합가속재단) 연합군을 구성했죠.
핵심은 쿠다에 맞설 수 있는, 그리고 어떤 하드웨어에서도 작동이 가능한 오픈 소스 형태의 'AI 개발 소프트웨어'입니다. 올 연말까지 기본적인 기술 개발을 끝내겠다는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와 인텔은 AI 추론용 칩 자체 개발에 나섰고, 특히 인텔이 네이버와 손잡고 AI 가속기 '가우디' 칩을 기반으로 하는 플랫폼 구축 청사진이 조만간 공개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또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와 손잡고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시작했고요.
증권가는 엔비디아 소프트웨어의 독점 체제가 깨지면, AI 반도체 경쟁이 더 가열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GPU-HBM보다 가성비가 좋고, 맞춤형 반도체인 NPU(딥러닝용)-DRAM, 또는 중간단계인 NPU-HBM의 하이브리드 AI 가속기에 대한 수요도 늘 것이란 전망입니다.
<앵커>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HBM 납품에 대한 논란이 불필요하다는 보고서도 나왔죠?
AI 반도체 패권을 둘러싼 전쟁이 국내 반도체 기업, 특히 소부장 기업들에게도 호재라는 분석도 제기된다고요.
<기자>
네, 먼저 한국투자증권은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HBM 인증 논란은 더 이상 불필요하다고 봤습니다.
주 고객사인 AMD에 안정적으로 HBM 판매를 하고 있고, 엔비디아보다 AMD가 12단 제품을 메인으로 사용하는 만큼 비트 그로스, 생산량 증가율 측면에서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또 "메모리 반도체 주가 상승은 이제 시작"이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동반 상승할 구간"이라고 진단했습니다.
한편, KB증권은 마치 '흑묘백묘론'처럼 "엔비디아와 반엔비디아 공동전선의 경쟁이 결국 AI 시장 전체의 파이 자체를 키우고, GPU·NPU·HBM·DRAM 모두 크게 성장할 것"이란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AI 반도체의 경우 충분한 자원 확보가 최대 과제기 때문입니다.
KB증권이 뽑은 AI 최대 수혜주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삼성SDS, 이수페타시스, 가온칩스 등이었습니다. 특히 범용인공지능(AGI) 시장이 초기 개발단계인 만큼 한국 IT 기업들이 매력적인 파트너로 부각될 것이란 전망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