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머스크 지분 확대? "테슬라 의결권 25% 돼야"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머스크 지분 확대? "테슬라 의결권 25% 돼야"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15일(현지시간) 테슬라 지분을 늘려 의결권을 확대할 의중을 드러냈다고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머스크는 이날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25%의 의결권 없이 테슬라를 인공지능(AI) 및 로봇 공학 분야의 리더로 성장시키는 것은 마음이 불편하다"고 적었다.

그는 별도의 글에서 의결권 비중을 25%로 특정한 이유와 관련해 "내가 만약 25%를 가진다면 충분한 영향력을 갖지만, 나를 찬성하는 주주에 비해 반대하는 주주가 두 배여야 무력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3분기 재무제표에 따르면 머스크는 테슬라 보통주 31억9천만주 가운데 약 13%(4억1천100만주)를 갖고 있다. 그는 재작년 트위터 인수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 규모의 테슬라 주식을 매도했다.

머스크는 15% 이하면 자신의 의견이 묵살되기 너무 쉽다는 점을 우려하며, 25%의 의결권이 없다면 테슬라 외부에서 제품을 만드는 것이 낫다고도 했다.

또 "의결권 25%라는 목표를 얻기 위해 차등의결권 주식 구조도 괜찮다. 하지만 테슬라 기업공개(IPO) 이후에는 불가능하다고 들었다"고 썼다.

그는 메타의 차등의결권 제도를 언급하기도 했다. 차등의결권 제도는 두 가지 이상 다른 종류의 의결권을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창업주 또는 초기 투자자들에게 다른 일반주주에 비해 주식 수 대비 더 많은 의결권을 주는 식이다. 그 덕분에 마크 저커버그는 메타에서 보유 주식보다 많은 의결권을 쥐고 있다.

머스크는 2021년 테슬라가 단순한 전기차 제조회사가 아니라 AI 분야의 선두 주자임을 보여주고자 한다고 말한 바 있다. 테슬라는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를 개발 중이다. 또 테슬라 차량이 수집하는 데이터와 영상 자료를 처리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훈련하도록 설계된 컴퓨터인 도조(dojo) 슈퍼컴퓨터 프로젝트에도 10억달러(약 1조3천300억원) 이상을 투입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