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파나마와 온두라스 등 중남미 국가 2곳에 고위급 특사를 파견한다고 미국 국무부가 16일(현지시간) 밝혔다.
최근 온두라스가 중국과 수교를 추진하며 대만과 단교 수순을 밟기 시작한 것을 의식, 대중 견제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국무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크리스토퍼 J. 도드 대통령 특별보좌관(SPA)이 오는 17∼21일 파나마와 온두라스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연방상원의원을 지낸 도드 보좌관은 2021년 4월 바이든 대통령 특사로 대만을 찾은 적이 있다.
도드 보좌관은 이번 순방에서 먼저 파나마에서 개최되는 미주개발은행(IDB) 연례회의에 참석한 후 현지 은행 및 금융권 인사들과 만날 계획이다.
이어 온두라스에서는 정부 관계자들과 민간부문 대표자들을 면담할 방침이다.
국무부는 "이번 방문은 서반구에서 포용적 경제 성장과 민주주의, 인권, 그리고 법치주의를 촉진하겠다는 미국의 약속을 앞당기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에 대해 "최근 수년간 미국은 중미 지역의 이민과 안보, 무역과 개발 우선순위 등 사안에 초점을 맞춰왔다"며 "이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중국의 노력에 우려해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14일 시오마라 카스트로 온두라스 대통령은 중국과 공식 관계를 맺도록 에두아르도 레이나 외교장관에게 지시했다며 "정부 계획을 이행하고 경계를 확장하려는 내 의지의 표시"라고 밝혔다.
레이나 장관은 당일 현지 방송에 출연, 온두라스가 대만에 연간 5천만 달러(660억 원) 규모의 원조를 두 배로 늘려달라는 것과 함께 온두라스가 대만에 진 6억 달러(7천700억 원) 규모의 부채를 '재조정' 해달라고 요청했으나, 긍정적인 답을 받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경제원조 등 금전적인 부분이 대중 수교를 추진하는 근본적인 원인임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대만 언론도 카스트로 대통령의 이번 발표가 온두라스가 수력발전 댐을 짓기로 중국과 협상 중이라고 발표한 지 수주 만에 나온 점에 주목하고 있다.
로이터는 "온두라스가 대만과 관계를 끊는다면, 대만의 수교국은 13개로 줄어든다"고 덧붙였다. 대만과 공식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는 현재 온두라스 외에 교황청과 벨리즈, 에스와티니, 과테말라, 아이티, 나우루, 파라과이, 팔라우, 마셜제도, 세인트키츠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투발루 등이다.
(사진=REUTERS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