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8일 "유가 전망, 기저 효과 등을 고려할 때 물가 오름세는 올해 하반기 중 정점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상방 리스크가 작지 않아 정점이 지연되거나 고물가 상황이 지속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이날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향후 통화신용정책 운영 방향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한은은 "물가가 목표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며 추가 금리인상을 시사했다.
한은은 "5∼6%대 높은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경제주체의 기대 인플레이션도 상승하면서 최근 고인플레이션 상황이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가능성이 제기된다"며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과 공급 차질 현상은 다소 완화됐지만, 지정학적 리스크 관련 상황이 악화할 경우 공급 물가 상승 압력이 다시 커질 수 있다"고 봤다.
또 민간소비 회복세, 미국 통화정책 긴축에 따른 달러화 강세, 4%를 웃도는 기대인플레이션율에 따른 물가·임금 간 상호작용 등도 국내 물가에 추가적 상방 압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경제성장세와 관련해서는 "상반기까지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잠재 수준을 상회하는 양호한 성장 흐름을 보였지만, 최근 들어 투자와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 모멘텀이 점차 둔화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경기 하강의 주요 원인으로는 `글로벌 성장 둔화`를 꼽았다. 미국은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유로 지역은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에너지 수급 차질로, 중국은 코로나19 봉쇄조치와 부동산시장 회복 지연 등으로 성장률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지난해 8월부터 올 8월까지 1년 넘게 기준금리를 2%포인트 올린 영향이 올 하반기부터 점차 가시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그동안 쌓인 부채와 높아진 자산 가격이 통화정책 긴축의 영향을 확대할 소지가 있고, 저소득·과다 차입 가계를 중심으로 소비 제약 효과가 집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택시장의 경우 당분간 대출금리 상승,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하방 압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은 "가계대출도 대출금리 인상과 주택시장 부진 등과 함께 증가세는 둔화하겠지만, 주택담보대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은행 등 금융기관도 가계대출 영업을 강화하는 만큼 하반기에 증가 규모가 다소 커질 가능성은 있다"고 관측했다.
이어 "최근 주택가격이 조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가계대출 증가세도 둔화하고 있지만, 향후 흐름이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며 "누적된 금융 불균형 위험을 기조적으로 줄여나갈 필요성은 여전히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