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3사`로 불리는 농심, 오뚜기, 삼양식품의 지난해 실적이 크게 부진했다.
코로나19 사태 첫해인 2020년 `집콕` 수요가 커지며 라면 매출이 급증한 데 따른 기저효과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국내 라면시장 1위 제품인 `신라면`을 판매하는 농심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33.8% 줄었다.
오뚜기와 삼양식품 역시 작년 영업이익이 2020년보다 각각 16.1%, 31% 감소했다.
라면 3사는 투자 설명자료 등을 통해 공통적으로 원자재·물류비 등 제반 비용 상승 탓에 실적이 부진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비용상승 못지않게 `재작년에 라면이 너무 잘 나간` 영향도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라면사업 비중이 전체의 90% 이상인 삼양식품의 한 관계자는 "2020년에는 사람들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처음 경험하면서 간편식인 라면 소비가 급증했다"며 "이후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며 라면 수요가 예년 수준으로 돌아갔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삼양식품의 2020년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21.9% 증가해 기존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런 기록적 수치와 비교하다 보니 지난해 실적이 상대적으로 더 부진하게 나타났다는 얘기다.
농심도 비슷한 상황이다. 농심은 2020년 집콕 트렌드와 영화 기생충에 나온 `짜파구리`(짜파게티+너구리)의 인기에 힘입어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영업이익은 2019년보다 무려 103.4% 증가했다.
농심 관계자는 "2020년 초에는 `패닉소비`와 짜파구리 열풍 덕분에 라면 소비가 급증했지만, 그해 하반기부터 밀키트·배달음식 등 대체품의 수요가 커지면서 다시 줄었다"고 전했다.
오뚜기도 재작년에는 영업이익이 2019년보다 33.8% 증가했다. 오뚜기 관계자는 "당시 `번쩍`했던 라면 소비가 지난해부터 코로나19가 점점 일상화되면서 다시 감소했다"고 말했다.
라면 3사가 겪은 이 같은 실적 기저효과는 수치로도 확인된다. 삼양식품의 지난해 영업이익을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약 16.4% 적은 수준으로, 2020년 대비 감소폭(31%)보다는 확연히 작다.
같은 기간 농심과 오뚜기의 영업이익은 각각 34.6%, 12.3%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지난해 8∼9월께 라면제품 가격을 인상한 효과가 조만간 실적에도 반영될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