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오미크론 대유행으로 5일 신규 확진자 수가 첫 3만명대를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3만6천362명으로 전날(2만7천443명)과 비교하면 8천919명 폭증했다.
지난달 26일(1만3천9명) 처음 1만명을 넘어선 뒤 일주일만인 지난 2일(2만269명) 2만명대로 올라섰고, 불과 사흘 만에 3만명선까지 넘어선 것이다.
앞서 방대본은 `단기 예측`을 통해 오미크론 변이 전파율이 델타 변이의 3배일 경우, 이달 중순 신규 확진자 수는 2만7천∼3만6천800명에 달하고, 이달 말께는 7만9천500∼12만2천200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현재의 확산세가 계속 이어진다면 이달 말이 되기 전에 하루 확진자 10만명, 혹은 그 이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오미크론 감염 시 중증환자가 될 확률이 델타 감염에 비해 훨씬 낮다고 해도 확진자 자체가 폭증한다면 의료체계 붕괴는 피할 수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날 현재 코로나19 위중증 환자는 269명으로 8일 연속 200명대에 머물고 있다. 중증병상 가동률도 16.1%(전체 2천431개 중 392개 사용 중)로 의료여력은 충분한 상황이다.
다만, 위중증 환자는 확진 후 1∼2주 후부터 본격적으로 나온다는 것을 고려하면 내주에는 위중증 환자 발생이 급증할 가능성도 다분하다.
확진자 폭증으로 재택치료자 관리 부담도 점점 커지고 있다.
전국의 재택치료자는 11만8천32명으로 전날(10만4천857명)보다 1만3천175명이나 늘었다. 그간 하루 7천∼8천명 수준으로 증가하다 전날엔 1만3천여명이나 증가했다.
재택치료 참여 의료기관들이 감당할 수 있는 최대 환자는 15만5천명이다. 관리 여력의 76%를 사용 중으로 관리기관 확충이 시급한 상황이다.
정부는 앞서 "이달 중 신규 확진자가 3만∼5만 수준으로 나오더라도 재택치료에 차질이 없도록 의료기관을 확보하는 중"이라고 계획을 밝혔으나 10만+α 발생에 대비하는 계획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오미크론 확산세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정부가 벌써 `방역완화` 기조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전날 코로나19를 계절 독감과 유사한 수준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통제관은 브리핑에서 "확진자가 증가하더라도 위중증·치명률이 계속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의료체계 여력이 충분하다면 방역 규제를 단계적으로 해제하면서 일상회복을 다시 시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델타보다 전파력은 2∼3배 이상 높지만, 중증화율은 5분의 1 정도로 낮은 오미크론의 특성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도 외국처럼 일상적 방역·의료체계 전환을 검토해야 한다는 발언이었지만, 국내 상황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방역 긴장감만 떨어뜨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백신 3차 접종률은 높지만 코로나19 자연 감염률이 낮은 국내 특수성 때문에 오미크론 중증화율이 지속적으로 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지, 방역 조치로 신규 확진자 증가 속도를 제어할 수 있을지 아직은 낙관하기 이른 상황이다.
게다가 60대 이상 등 고위험군에게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우선 시행하는 새로운 검사체계가 지난 3일부터 시행되면서 무증상 감염자가 지역사회에서 활동할 가능성도 한층 커졌다.
새 체계에서는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와야 PCR 검사를 받게 하고, 음성이 나오면 비감염자로 간주한다. 문제는 신속항원검사의 정확성에 한계가 있어 실제 감염자를 음성으로 판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1주일간 선별검사소 일일 PCR 건수는 최소 14만건에서 최대 23만여건 수준이었으나, 전날은 10만여건, 이날은 7만5천여건이었다.
이날 0시 기준 검사 양성률은 18.7%로 전날(9.6%)보다 2배 가까이 높아지면서 종전 최고치(3일·10.7%)를 훌쩍 넘겼다. 5명이 검사하면 약 1명이 확진 판정을 받는 셈이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