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간이 활용할 수 있는 공공 생물안전시설(BL3) 확보를 위해 운영기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민간기업 지원에 나선다.
또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연구역량을 가진 기관에 생물안전시설(BL3)을 추가 구축한다.
지난 3일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단`은 질병관리본부 및 유관부처 공동으로 공공 생물안전시설 운영기관 협의체를 구성해 공공 생물안전시설 공동 활용계획 수립을 통해 민간기업 우선 지원을 추진한다.
이번 BL3 운영기관 협의체는 오는 7월 구성된다.
이미 지난 달 6일부터 보건복지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중소벤처기업부는 민간 활용이 가능한 BL3 31개를 확보하고 산·학·연 활용수요와 매칭을 지원해 왔다.
또한 과기정통부는 KAIST 등 바이러스 연구역량을 보유한 기관에 BL3 시설을 추가로 구축 및 운영하고 전문인력 확충을 추진한다.
▲ 치료제·백신 인프라 구축해 기업부담 완화이와 더불어 정부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연구·생산 인프라 활용을 위한 기업부담 완화에도 나선다.
우선 중기부는 중소벤처기업의 BL3, 임상시료 생산 시설(GMP) 등 이용부담 완화를 위해 활용비용을 지원한다.
시설구축 지원으로는 중기부와 기술보증기금이 함께 GMP 인증 생산시설 확충 등 시설·장비 투자 희망 기업에 정책자금을 지원하고 시설자금 특례보증을 실시할 예정이다.
지원 금액은 창업기반지원에 1조 7,000억 원, 개발기술사업화 등 제품화 지원에 2,900억 원, 신성장기반 자금 등 시설투자에 1조 4,300억 원으로 총 3조 4,200억 원 규모에 달한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3일 "연내 필요한 임상시험을 위해 1,000억 원 이상의 긴급 R&D(연구개발) 자금을 신속 지원하겠다"면서 감염병 위기대응 국가 R&D 확대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치료제·백신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 비용 지원에 우선적으로 유망기업을 선정하고 생산시설 개선이 필요한 기업을 대상으로 시설·장비 직접지원을 할 예정이다.
또 복지부는 국립 바이러스·감염병연구소 관련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를 확충하고 코로나19 유전체 연구 및 다기관 임상시험 플랫폼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과기부는 KAIST의 기술역량을 통해 스마트 감염보호장비, 신속감염진단, 이동형 감염병동 등 방역·진단기기 기술개발 및 감염병 극복 종합솔루션 개발에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