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을 공식화했습니다.
분양가 제한으로 강남권 재건축 사업추진이 사실상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자, 재건축 단지에 몰렸던 열기가 신축아파트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전효성기자입니다.
<기자>
국토교통부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위한 세부안을 다음 주에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일본과의 분쟁으로 부동산대책도 미뤄지는 것 아니냐"는 세간의 우려를 일축한 겁니다.
지난 6월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이슈가 수면 위로 올라온 이후, 부동산 시장은 빠르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예측대로 재건축 단지 인기는 시들합니다.
분양가 제한으로 재건축 예상수익이 낮아지면서, 재건축 사업 일정도 무기한 미뤄질 것이란 분석 때문입니다.
실제 강남권 재건축 단지의 호가는 분양가 상한제 이슈가 나온 이후 크게 낮아졌습니다.
(은마아파트: 20억 원(6월 말)→19억 원(7월 말), 잠실주공5단지: 20억 원→19억 2천만 원)
반면 지어진지 얼마되지 않은 신축아파트 인기는 고공행진 중입니다.
분양가 상한제로 재건축 사업이 막히게 되면 그만큼 서울 새 아파트의 공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새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여전한 가운데, 재건축에 쏠렸던 열기가 지어진지 얼마되지 않은 아파트로 옮겨가는 셈입니다.
신축아파트 가운데서도 입지가 뛰어난 강남권 아파트의 인기가 두드러집니다.
준공 1년이 지나지 않은 '개포 래미안블레스티지'는 한달 새 호가가 5억 원이나 올랐고, 지난해 입주한 '방배 아트자이'의 호가도 한달 만에 2억 원 가까이 올랐습니다.
"집값을 잡기위한 규제가 오히려 집값 상승의 도화선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벌써부터 현실화 된 겁니다.
[인터뷰] 이승석 /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그동안에는 수요를 억제해서 부동산시장을 억누르려는 정책을 폈죠. 동시에 주택공급이 늘어나서 시장에서 수요공급으로 자연스럽게 주택가격이 내려가는 효과를 노렸는데… 분양가 상한제를 시행하게 되면 주택공급도 줄어들기 때문에, 주거안정을 위해서는 그렇게 좋은 정책이라고 볼 순 없어요.
집값을 잡는다는 명목하에 정부가 마지막 카드로 꺼내든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주택공급 위축이라는 숙제를 풀지 못할 경우 "반등을 시작한 부동산시장에 혼란만 더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전효성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