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업계는 절체절명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지만 통상환경은 갈수록 험난해지고 있습니다.
무역·수출업계에서는 내년 역시 통상마찰 이슈가 무역 환경, 특히 자동차와 철강 등 주력산업에 우호적이지 않다며 기업들의 혁신에 더해 정부의 적극적인 통상대응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미·중 양국 모두 최근 쉽지 않은 국면을 맞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 타협점 찾기 행보에 착수하자 무역분쟁은 일단 소강상태에 접어드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무역협회와 코트라, 한국경제연구원 등 국내 무역·수출 유관기관, 전문가들이 바라보는 대외여건, 수출을 둘러싼 난제에 대해서는 우려하는 목소리는 여전했습니다.
양국 고위당국자들이 협상 조율에 들어간다고 해도 실무진 협상에서 마찰을 빚을 가능성이 농후한 데다 휴전 90일 동안 양측이 만족할 해법을 찾는 것이 사실상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최근 GM 공장 폐쇄로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차 관세부과 의지가 어느 때 보다 힘을 얻고 있고, 이는 곧 국내 자동차 업계의 최대 재앙인 미국의 232조 관세부과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무역분쟁에 더해 미·중 마찰의 한 축인 첨단산업·기술 패권, 4차 산업혁명이란 큰 흐름이 몰아치는 상황에서 기업과 정부의 기술선점, 혁신, 전략적인 대응이 늦춰져서는 안 된다는 점도 강조됐습니다.
선진국들이 자율주행차, 인공지능, 제반 플랫폼 마련에 최우선 순위를 두며 기술 개발, 관련법 정비를 서두르는 가운데 국내의 경우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입니다.
국내 완성차·부품 기업들이 차량 전동화, 커넥티비티, 자율주행, 한국형 플랫폼 구축에 나서고 철강 등 주력산업 역시 기술고도화, 소재 개발이 한창이지만 중국의 행보가 만만치 않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장윤종 산업연구원 박사
“한국이 앞서 나가야 할 부분 중국이 앞서 나가면 한국이 어떻게 될 까 복잡한 심경이다. 자율주행차 뜨기 전까지 기업·정부가 준비를 해 놓지 않으면 그 다음부터는 굉장히 어렵다“
국내 수출기업들이 통상마찰에 구애받지 않는 신규 수출품목·서비스 개발, 지역 다변화, 전략적 제휴, M&A, 투자에 나서고 있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통상대응도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박태호 전 통상교섭본부장
“WTO 등 국제사회에서 너무 우리의 목소리가 나지 않는다. 글로벌 통상질서 변화에 대해 우리 정부가 전략적인 접근 필요”
보호무역 확산, 미·중간 무역분쟁이 심화될 경우 국내 자동차와 철강 등 주력산업의 수출이 3%~10% 감소할 수 밖에 없다는 연구소, 수출 유관기관들의 전망은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습니다.
미·중 고위당국자의 한마디에 일희일비가 교차되며 향후 흐름을 예단키 어려운 상황에서 기술 선점, 수출기업의 유연한 대응에 더해 정부의 적극적인 통상 대응은 현 시점에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우리경제의 지상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