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이틀 간 다우지수가 1000포인트 가깝게 급락했던 미국 증시가 오늘은 다행히 소폭이나마 올랐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시청자분이 가장 많이 문의해 오고 있는 궁금증을 풀어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지난달 이후 국내 증시서 외국인 자금 이탈규모가 5조원이 넘고 있습니다만 원달러 환율은 이상할 정도로 달러당 1130원대에서 안정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요.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지 오늘은 이 궁금증을 풀어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서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한 위원님! 어제도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매도세가 지속됐는데요. 외국인 움직임 상황을 총괄적으로 말씀해 주시지요.
-국내 증시, 올해 들어 윔블던 현상 더 심화
-유커 윔블던 현상까지 가세, 이중고 시달려
-외국인, 기복이 있으나 올해 추세적인 매도
-2차 남북 정상회담 이후 외국인 매도세 거세
-9월 중순 후 외국인 순매도 규모, 5조원 넘어
말씀대로 올들어 외국인이 국내 증시에서 지속적으로 팔았다면 원·달러 움직임은 어떻게 움직였습니까?
-원·달러 환율, 지난 4월초 연중 최저 1054원
-남북 관계 기대감, 900원까지 급락설도 나와
-10월 금융시장 불안, 1000원 붕괴설 사라져
-달러자산 추천 증권사, 1200원대 재진입 예상
-하지만 원달러 환율은 1130원 내외에서 안정
시청자분들이 이 점을 궁금해 하고 있는데요. 2차 남북 정상회담 이후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이 대거 이탈했는데요. 왜 원·달러 환율은 오르지 않습니까?
-2차 남북 회담 후 외국인 매도 5조원 달해
-원화로 1조원 이탈, 원·달러 환율 10원 상승
-5조원 이탈했다면 원·달러 환율 1200원 정상
-하지만 원·달러 환율은 하락해 1130원 내외
-국내 증시 이탈 외국자금, 외자 유출은 아냐
국내 증시서 이탈한 자금이 우리나라 밖으로 나가지 않았다면 그 많은 자금이 어디로 간 것입니까?
-경기 둔화, 외국인 안전자산 선호경향 뚜렷
-미국에서도 주식에서 채권으로 ‘머니 무드’
-신흥국 채권, 금융위기 조짐으로 가격 급락
-글로벌 IB, 내년에는 신흥국 채권투자 유망
-국내 증시 이탈 외국자금, 통안채 집중 매입
이달 말 올해 마지막 금통위가 앞두고 있는데요. 미국과의 금리 역전으로 외국인 자금이 대거 이탈하고 원달러 환율이 크게 올라갈 것이라는 시각은 잘못된 것이 아닙니까?
-한미 간 금리역전, 0.25%p→0.75%p-1%p
-외자이탈 방지 위해 금리 올려야 한다고 주장
-외환보유 충분, 한국 외환위기 당시와 달리
-오히려 금리를 올릴 경우 한국 경기 더 침체
-금리역전보다 경기침체, 더 큰 외자이탈 요인
앞으로 원달러 환율을 전망할 때 어떤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것입니까? 역시 미국측 요인이 가장 중요하지 않습니까?
-달러가치, ‘Mercury $ Mars’이론으로 설명
-Mercury, 미국경기와 금리 등 펀더멘털 요인
-Mars 요인, 미국 정부의 달러 정책 기조
-15∼17년말, Mecury<Mars 요인-달러 약세<br />
-올해 들어 Mars<Mecury 요인-달러 강세<br />
-중간선거 이후 Mars와 Mecury 요인 간 균형
중국측 요인은 어떻게 될 것으로 보십니까? 옳 여름철 이후 원달러 환율은 미국보다 중국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하지 않았습니까?
-위안화와 원화 간 상관계수, 9월 후 0.9 달해
-국제금융시장, ‘1달러=7위안’ 방어 여부 주목
-뚫리면 중국 내부적으로 금융 위기감 확산
-대외적으로 미국으로부터 환율조작으로 인식
-중국, △무역과 비연계 △3조달러대 외화보유
-위안·달러 7.0위안 뚫리면 1150원 상회할 듯
그렇다면 지난 9월 중순 이후 국내 증시에서 거센 외국인 매도세를 틈을 타 달러를 사라고 추천하는 시각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5년 12월 미국 금리인상 이후 ‘달러’ 추천
-작년 11월 1060원 붕괴, 달러 투자 큰 손실
-1000원 붕괴설 제시, 유로와 엔 매입 권유
-1100원 이상 급등, 유로와 엔 추천 환차손
-9월 중순 이후 달러 매입 재권유, 신중해야
-주거래 범위, 달러당 1100원에 상하 50원대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