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의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후퇴에도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일컫는다.
8일 두바이유 현물가격은 지난 4일 배럴당 84.44달러까지 치솟아 2014년 10월 말 이후 약 4년 만의 최고치다.
빠른 속도로 오르는 유가가 국내 경제에 하방 압력을 가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자산운용사의 한 채권운용팀장은 "경기가 부진한 가운데 국제유가와 환율이 오르는 점을 주시하고 있다"며 "국내 경제가 안 좋은 방향으로 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예전에는 유가 상승이 국내 경제에 일부 긍정적으로 작용하기도 했으나, 이러한 효과가 최근 작아졌다는 분석이다.
국내 석유 화학업체는 유가 상승에 따른 원료비 부담을 제품가에 반영해야 한다. 셰일 가스를 기반으로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미국 업체보다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유가 상승이 경기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물가에는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셈이다.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매파 기조도 최근 강화된 분위기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2일 미국 경제가 역사적으로 드문 경제호황을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튿날에는 기준금리가 중립금리에 한참 미치지 못한다고 발언했다.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한국은행 입장에서 보면 미국과 기준금리 차 확대에 따른 금융불안 위험이 더 커질 수 있는 셈이다.
한국은행이 이에 대응해 기준금리를 올리면 국내 경기의 하방 압력이 더욱 커지게 된다.
증권사의 한 채권 운용역은 "경기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기준금리에 맞춰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 같다"고 전망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0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전망"이라며 "미국 중앙은행(Fed)의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과 신흥국 통화 약세, 유가 상승은 한국을 포함한 신흥국에 경기 침체에도 물가가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의 위험을 높이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유가 자료사진 / 연합뉴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