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경찰 댓글, 어떤 포털 투입됐나?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국정원, 군 이어 경찰도 2011~2012년 댓글공작 드러나"
경찰 댓글 후폭풍...“경찰도 앞장서 민의 왜곡”
경찰 댓글, 어떤 포털사이트에 집중적으로 투입됐을까 ‘의문’



경찰 댓글 의혹이 의혹이 아니라 팩트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12일 “국정원과 군에 이어 경찰도 댓글공작 정황이 드러났다”는 언론보도가 나왔기 때문.

경찰 댓글은 이 때문에 주요 포털 실검 1위에 올랐으며 이에 대한 후폭풍이 예고되고 있다. 정치권도 경찰 댓글에 대한 매서운 질타를 쏟아낼 전망이다.

경찰 댓글이 이처럼 온라인을 강타한 까닭은 국가정보원과 군 사이버사령부가 인터넷 댓글공작을 통해 정치에 개입했던 지난 2011~2012년 경찰도 민의를 왜곡하는 여론 조작에 나선 정황이 드러났기 때문.

경찰 댓글을 보도한 매체는 한겨레신문. 이 매체는 “정보와 수사기관을 망라한 정치 공작의 마지막 고리가 드러났다”라며 경찰 댓글 실태를 폭로했다.

한겨레에 따르면 경찰청 진상조사팀의 조사에서 경찰청 보안사이버수사대가 인터넷 댓글을 작성하며 여론에 개입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고 한다.

댓글공작은 국정원 심리전단이 2009년부터, 군 사이버사령부가 2010년부터 시작했는데, 경찰 보안사이버수사대가 댓글 작전을 시작한 시기는 2011년부터로 경찰도 뒤늦게 댓글공작 대열에 합류했다고 이 신문은 보도했다.

구체적으로 한겨레는 “국가정보원과 군 사이버사령부에 이어 민생과 치안을 담당하는 ‘공룡 조직’ 경찰까지 민의를 왜곡하는 여론 조작에 나선 정황이 드러났다”라며 “특히 경찰은 시민들과 밀착해 활동하면서 정보 취득과 신원 확인, 치안 활동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댓글 조작의 참상이 정보기관과 군에 비해 더 광범위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지난 11일 국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소속 이철희·이재정 의원실(더불어민주당)과 <한겨레> 취재에 따르면 경찰청 보안사이버수사대가 ‘댓글 작전’을 시작한 시기는 2011년부터로, 국정원 심리전단이 2009년부터, 군 사이버사령부가 2010년부터 온라인 여론 조작 작업을 시작하자 경찰이 뒤늦게 이 대열에 합류한 셈이라고 이 매체는 진단했다.

경찰 댓글도 조직적이었다. 이재정 의원실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2010~2015년 보안사이버수사대 직원 현황을 보면 2010년 2월 기준으로 보안사이버수사대 인원은 총 11명이었다. 하지만 2011년 2월에는 13명, 2012년 2월에는 20명으로 늘어났다.

경찰 댓글은 그렇다면 어떤 방식이었을까.

한겨레는 “보안사이버수사대는 포털사이트 뉴스 등 특정 게시글에 대한 대응 지시가 내려오면 해당 내용과 관련해 댓글을 작성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라며 “경찰은 이 과정에 전국의 보안사이버요원 100여명 등을 동원할 계획도 세웠던 것으로 전해진다”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이 매체는 “경찰이 구체적으로 어떤 댓글을 달며 여론전을 폈는지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다”라며 “다만 군이 2011~2012년 사이 4대강 사업, 세종시 이전, 제주해군기지 사업, 용산참사 등에 대해 댓글 활동을 벌인 점에 비춰, 경찰 역시 비슷한 주제의 댓글 공작을 벌였을 가능성이 크다”라고 분석했다.

경찰 댓글 보도에 대해 경찰청은 아직까지 구체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

경찰 댓글 폭로와 관련 누리꾼들은 “이명박 박근혜 정권 뿐 아니라 지금도 네이버 등에서 댓글 조작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게 더 기가 막힘” “그렇지요, 견찰이 빠지면 섭섭하지요” “과거 정부는 온갖 곳에서 여론을 조작했네요. 이런 현실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길 바라” 등의 반응이다.

경찰 댓글 이미지 = 연합뉴스 tv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