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9.36

  • 4.64
  • 0.19%
코스닥

678.88

  • 1.73
  • 0.26%
1/4

한국에서만 배짱...애플스토어의 좌충우돌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애플이 한국 소비자를 홀대하고 있다는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올 초 문을 연 애플의 공식 판매점 애플스토어에서는 여전히 단말기 개통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신분증 스캐너 도입 등 국내정책을 거부하고, 자체 시스템을 쓰기 원하기 때문인데요.

한국에서는 완강 태도를 보이는 애플이지만 중국에서는 정부 정책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 이중적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정재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올 초 국내에서 처음으로 문을 연 애플스토어 가로수길점.

이른 아침부터 제품을 보러 온 사람들로 붐비지만 정작 아이폰 개통은 할 수 없습니다.

현재 국내 정책상 정부에서 지정한 신분증 스캐너와 시스템으로 신분 확인을 해야 하는데, 애플이 자체 전산시스템을 고집해 통신사로부터 대리점 코드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

현재 통신사 대리점을 비롯해 삼성과 LG 등 자체 유통망을 가진 제조사들도 단말기 개통에는 정부가 지정한 시스템을 쓰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 시스템이 애플의 또 다른 경쟁사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우 체제라는 것.

애플은 애플스토어에 마이크로소프트 등 타사가 개발한 시스템을 절대 도입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애초 애플스토어 개점에 앞서 국내 통신사에게 아이패드 전용시스템을 요구한 바 있습니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현재 애플의 요구에 따라 전용 시스템 개발을 완료한 상태"라고 밝혔지만 아직 정부는 예외조항을 허락할 계획이 없습니다.

이렇듯 한국에서 배짱 정책을 펴는 애플이지만 중국에서는 180도 다른 모습입니다.

지난달 사이버법을 강화하기로 한 정책을 수용해 중국내 아이폰 이용자의 정보가 담긴 서버를 중국 정부에 이관하기로 결정한 겁니다.

애플은 법 위반시 중국 서비스 중단을 우려해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는 입장입니다.

지난해 아이폰 배터리 고의 성능 저하에 따른 집단소송 참가 의사를 밝힌 국내 이용자수는 수만명에 달하지만 여전히 한국은 애플의 뒷전이라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정재홍입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