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남자 10명 중 4명은 비만이었고, 이 중 30대 남자는 고도비만율이 7.30%에 달하는 등 46% 이상이 비만이었다.
소득수준과 비만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자는 소득이 높을수록, 여자는 소득이 낮을수록 비만일 가능성이 컸다.
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간한 `2017 비만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건강검진 및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수검자 1천395만명의 비만율은 33.55%였다. 남자는 41.29%, 여자는 23.74%로 남녀 차이가 있다.
성인은 신장과 체중의 비율로 산출하는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일 때 비만으로 본다. 세분화하면 저체중은 18.5 미만, 정상은 18.5∼23, 과체중은 23∼25, 비만은 25∼30, 고도비만은 30∼35, 초고도비만은 35 이상이다.
남자는 정상이 29.99%에 불과했고, 저체중은 2.05%로 적었다. 그러나 과체중 25.64%, 비만 35.74%, 고도비만 5.31%, 초고도비만 0.24% 등으로 비만이거나 비만이 될 가능성이 큰 인구가 많았다. 특히 30대
남성은 BMI 25 이상이 전체의 46.26%였다.
여자는 정상 비율이 50.03%로 높았다. 그러나 저체중도 7.78%로 높았으며, 과체중 18.33%, 비만 19.54%, 고도비만 3.59%, 초고도비만 0.61%였다.
건강보험료 분위별로 비만율(BMI 25∼30)을 따져보면, 남자 비만율은 남자 19분위에서 37.36%로 가장 높고, 7분위에서 33.07%로 가장 낮았다.
반면 여자는 1분위에서 21.79%로 가장 높고, 20분위에서 15.68%로 가장 낮았다.
건강보험료 분위는 보험료를 적게 낼수록 1에 가깝고, 많이 낼수록 20에 가깝다. 20에 가까울수록 소득과 재산이 많다고 볼 수 있다.
고도비만율과 초고도비만율은 남녀 모두 소득이 낮을수록 일정하게 높았다.
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소득이 높을수록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고, 소득이 낮을수록 인스턴트, 패스트푸드 음식을 많이 섭취해 소득별 비만율은 U자 곡선을 그릴 것으로 예상하는데 올해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남녀에 따라 소득별 비만율은 양상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공단 비만대책위원회는 이런 현상을 연구과제로 정해 생활여건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