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박원순 서울시장의 역점사업인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매우 획기적이라는 평가도 있지만 난개발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주비 기자입니다.
<기자>
50년 만에 새 단장을 한 서울 종로구 세운상가.
한 때 철거 위기에 놓였다 세운상가는 박원순 시장의 도시재생 사업 덕분에 다시 태어났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도시재생은 낡은 건물을 통째로 밀어버리고 다시 짓는 게 아니라 지역 특성을 살려 소규모로 개발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미 영국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곳곳에서 도시재생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쇠락한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다만 도시재생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도 적지 않다고 지적합니다.
낡은 고가도로를 공원으로 바꾼 서울로 7017 주변 지역은 임대료가 두 배 가까이 상승하면서 이른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도시재생 사업이 진행 중인 연남동과 성수동 인근 상가도 상황은 마찬가지.
서울시가 추진하는 도시재생 사업이 동네단위의 노후주택 개량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도시재생이 주택난 해소에는 별 도움이 안 되고 있다는 겁니다.
실제 최근 5년간 서울시에 공급된 새 주택 중 공공부문에서 공급된 물량은 전체의 11%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김은경 / 삼성증권 연구원
“서울시의 도시정비의 초점이 도시재생에 맞춰져 있는데 이 경우에는 주택의 신규 공급에는 한정적일 수밖에 없는 시스템이거든요. 오히려 일반 공급이 굉장히 제한적인 강남권의 재건축 아파트에서만 신규 공급을 기대해야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도시재생으로 인한 혜택이 일부에게만 돌아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인터뷰] 권대중 / 명지대학교 부동산학 교수
"아주 극소수에게 주택바우처 제도처럼 임대주택을 공급하거나 임대 대납해주는 건 좋은 정책인데 그게 일부분에 그쳐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보지 못하고 있다."
보다 많은 시민들이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는 도시재생에 앞서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들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이주비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