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소·벤처기업 전용 주식시장인 코넥스가 출범한 지 4년이 지났지만 거래량이 적어 시장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의 진입 문턱을 낮추는 동시에 거래가 될 만한 종목들이 많이 상장될 수 있도록 근본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방서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올 들어 코넥스 시장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13억원으로 지난해보다 절반 가까이 감소했습니다.
시장의 유동성을 가늠하는 지표인 매매회전율도 같은 기간 비중이 40% 가량 줄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코넥스 시장 부진의 이유로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주식 자체가 많지 않다는 점을 꼽습니다.
코스닥 상장을 염두에 둔 대주주 등이 지분율을 지나치게 높게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코넥스 기업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 등이 보유한 주식은 전체 상장주식의 70% 수준으로, 실제 유통 가능한 주식은 30% 정도에 불과합니다.
심지어 일부 상장사의 경우 최대주주의 지분율이 100%로 발행주식 전량을 소유해 사실상 상장이 무의미할 정도입니다.
시장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로 지적됩니다.
코넥스 종목에 투자하려면 최저 예탁금 1억원을 납부해야 하거나 연간 납입가능금액 3천만원의 코넥스 소액투자 전용계좌를 사용해야 하는 등 절차가 필요합니다.
코넥스가 벤치마크로 삼은 해외 시장들이 초창기 유동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개인투자자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규제를 푼 것을 감안하면 시장 흐름에 역행하는 셈입니다.
이에 따라 코넥스가 코스닥으로의 단순 통과 경로가 아닌 하나의 자체 시장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진정한 성장 사다리가 될 수 있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단순히 상장기업 수만 늘리기 보다는 주식 분산 요건을 도입하고 개인투자자 진입 문턱을 낮춰 거래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실제로 캐나다 토론토 벤처거래소(TSX-V), 홍콩의 성장기업시장(GEM), 싱가포르의 캐털리스트 등의 경우 상장시 외부주주에게 15~25% 가량 지분을 분산시켜야 합니다.
투자자들을 이끌기 위해서는 기업 공시 의무도 오히려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현재 코넥스 기업은 1년에 한 번 사업보고서만 내면 되며, 공시 항목도 29개로 다른 시장에 비해 적습니다.
<인터뷰>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
"적극적인 상장 기업 발굴이라든지 코넥스 상장 기업들이 얼마나 자금 조달을 성공적으로 해내고 있는지 전환사채나 BW나 이런 것들의 발행을 통해 얼마나 성공적으로 자금 조달을 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조금 더 신경 쓸 필요가 있습니다."
이와 함께 될성부른 기업을 찾아 코넥스 시장으로 끌고 들어와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코스닥으로의 이전 상장을 돕는 지정자문인의 역량 확대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합니다.
한국경제TV 방서후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