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12.43

  • 29.16
  • 1.13%
코스닥

740.48

  • 13.07
  • 1.80%
1/3

흡혈 모기 유충 잡아먹는 왕모기 사육 기술 개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사진=번데기 탈피하는 광릉왕모기 성충)


모기 유충을 잡아먹는 모기를 사육·번식하는 기술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됐다.

향후 이 모기를 활용하면 지카(Zika) 바이러스나 뎅기열 등 모기 매개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9일 흡혈 모기류의 유충을 잡아먹는 광릉왕모기를 사육해 모기를 방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하와이·사모아 제도·태국 등에서 모기 잡는 모기를 도입한 사례가 있지만, 국내에서 천적을 번식해 모기 방제에 활용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광릉왕모기와 같은 왕모기족(族)은 유충일 때는 다른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고, 성충이 되면 암수 모두 흡혈하지 않아 사람에게는 해를 끼치지 않는다. 대신 꽃의 꿀을 섭취하고 꽃가루를 매개해 준다.

기술원은 이번 기술 확보를 위해 암막 사육장을 개발해 광릉왕모기의 짝짓기, 산란, 실내 번식을 유도했다. 암막 사육장을 활용한 결과, 사육기간 50일 동안 광릉왕모기 암컷 한 마리에서 약 600마리 이상의 광릉왕모기 개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광릉왕모기 유충 한 마리는 하루에 약 26마리의 다른 모기 유충을 잡아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유충 기간인 약 16일간 광릉왕모기가 416마리의 모기 유충을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광릉왕모기는 흰줄숲모기와 같은 숲 모기류의 서식처인 산간지대의 나무구멍이나 대나무 그루터기, 길가의 폐타이어 등의 작은 물웅덩이에 서식한다.

지카나 뎅기열 확산의 주범인 숲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기 때문에 친환경적으로 바이러스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게 기술원 측의 설명이다.

광릉왕모기를 활용한 모기방제 기술은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개발 사업 중 하나로, 지난해 11월부터 고려대 연구진이 수행하고 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앞으로 해당 기술의 생태계 영향을 평가하는 한편 유지·관리 기술도 개발할 예정이다. 최종적으로는 생태계 적용 연구를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영호  기자
 hoya@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