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서울시가 생활권을 116개 지역으로 쪼개고 강북과 서남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오는 2030년까지 상업지구를 확대하고 규제도 완화해 강남과의 불균형을 해소하겠다는 겁니다.
이주비 기자입니다 .
<기자>
서울시는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서울 전체 생활권을 116개로 쪼개고 집중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에서 동네 단위의 지구중심을 추가해 고른 성장을 유도하겠다는 게 목표입니다.
특히 동북권의 경우 강남과 송파구 등보다 1인당 상업지역 면적이 36%밖에 안되는데 이를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겁니다.
서울시는 오는 2030년까지 서울광장 145개 규모인 192만 ㎡의 상업지역을 추가로 지정하고 대부분을 동북권과 서남권, 서북권 위주로 개발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박원순 서울시장
"소외 낙후지역을 배려하고 그 지역의 자족성이 강화될 수 있도록 동북권 17개소, 서남권에 20개소를 지정했습니다. 구태여 모든 사람이 종로·중구·강남에서 다 출퇴근해 그곳에 모이지 않아도 되도록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상업 지역의 활성화를 위해 비주거 의무 비율을 30%에서 20%로 완화하고 주거 용적률도 400%까지 일괄 허용한다는 방침.
서울시는 지역 주민들의 요구와 과제를 반영하기 위해 서울 전역을 4~5개 동을 합친 수준의 소단위로 쪼개 동네별로 관리할 계획입니다.
이전에는 횡단보도 설치나 녹지공간 확보 등 주민들의 요구가 민원으로 취급돼 실제 반영이 어려웠지만 앞으로는 자치구와 서울시가 직접 판단하게 됩니다.
서울시는 국토교통부 등 관계 기관과 협의하고 내부 검토를 더 거친 뒤 오는 10월까지 생활권계획을 확정해 시행할 방침입니다.
한국경제TV 이주비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