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CEO 인선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는 상황에서 은행권이 시민단체의 잇따른 고발로 연이어 잡음이 일고 있습니다. 얼마 전 신한은행에 이어 하나은행으로까지 번지며 취약한 지배구조 문제냐, 아니면 부적절한 개입이냐에 대한 논란이 거셉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지주 회장, 행장 인선이 종반부로 접어 든 사이 은행권이 시민단체의 연이은 고발로 크게 술렁이고 있습니다.
신한사태와 관련해 신한은행장 인선 관련 고발건이 행장 내정으로 잠잠해 지나 싶더니 이번엔 정유라 특혜 대출, 부당 인사개입으로 하나금융 회장과 행장에 대한 고발로 옮겨 붙은 데 따른 것입니다.
<인터뷰> 김남근 민변 부회장
”정유라·최순실의 개인적인 편익을 봐주기 위해 거대 은행을 동원하고 은행의 편의를 봐준 사람까지 인사에 개입한 일에 대해..사건의 진실을 알리고 처벌받을 때까지 끝까지 추적해.."
대통령 대면조사가 임박하며 재벌·공직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아 CEO 소환 우려가 잦아드나 내심 기대했던 하나금융과 은행은 이번 건으로 또 한번 홍역을 치르게 됐습니다.
문제는 이 같은 고발이 행장들의 임기 만료·교체 시점과 맞물려 있다는 점입니다.
매번 구설에 오르는 취약한 지배구조상 문제냐, 선을 넘는 외부 개입이냐가 주요 쟁점입니다.
금융당국 조차 민간금융사에 대한 인사 불개입을 재차 천명한 상황인데 시민단체와 정치권의 최근 직·간접적 개입이 과연 적절하냐는 것입니다.
반면 ‘옥상옥’ 등 폐쇄적인 구조, 경영진간 권력다툼, 줄타기 등 자정능력이 취약한 은행권을 감안한다면 제2·제3의 외부 견제장치가 있어야 한다는 주장 등이 팽팽히 맞서고 있습니다.
탄핵, 대선 등 대형 이슈가 은행권의 흑역사, CEO 인선과 맞물리며 업권내 혼란으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계기로 한층 촘촘한 지배구조·승계·견제 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견해에도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인터뷰> A 경제연구소 소장
“CEO 승계프로그램 일반적인 예에 비춰보면 꼭 부합하는 절차 거쳤다고 보기는 어렵다. 나중에 이를 결정한 사람들 책임져야 한다. 하지만 사전적 절차 문제가 있다고 이에 관여하는 것도 문제“
정치적 이슈로 그 의미를 축소하기 보다는 수뇌부의 독단을 견제하고 투명성을 담보하는 이사회 구성, 금융당국의 적절한 관리·감독 등 개입 자체를 허용치 않는, 탄탄하고도 체계적인 지배구조를 위한 업권내 논의와 분발이 더욱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