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13.72

  • 6.33
  • 0.25%
코스닥

722.89

  • 4.77
  • 0.66%
1/4

미국 기준금리 인상, 신흥국 자금이탈 우려

관련종목

2025-01-21 11:31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증시라인11]

    - 앵커 : 김동환 경제 칼럼니스트 /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객원연구위원

    - 출연 : 이상재 유진투자증권 이사

    1년 만에 단행된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과 내년 인상 횟수 3차례는 연준의 통화정책기조가 긴축적으로 선회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12월 FOMC회의의 특징은 향후 미국경제 개선 기대감에 근거한 점과 트럼프 정책에 의해 경제가 호전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진 위원들이 생겼다는 것이다. 연준 위원들의 기대처럼 미국경기가 호전된다면 내년 금리인상 횟수가 확대될 수 있으며, 기대에 못 미친다면 금리인상 횟수는 올해처럼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다음 금리인상을 위해 경제지표 개선을 확인하는 시간을 갖겠다는 문구가 삭제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미국경제가 호전되면 언제라도 금리인상에 나서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더불어 재닛 옐런 의장은 중장기적으로 온건한 금리정상화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현재 글로벌증시의 상승이 연준의 온건한 금리정책을 바탕으로 상승한 것이 아닌 내년 미국경제 성장세 확대에 대한 기대와 세계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바탕으로 상승한 것이다. 또한 글로벌 인플레 개선과 국제 원자재 가격 반등에 따라 기업들의 매출 및 이익개선이 기대되고 있다. 때문에 내년 세계경제 회복 기대감이 구체적인 정책으로 인해 크게 무산되지 않는 이상 연준의 통화정책으로 인해 글로벌증시 및 국내증시의 강세 기조가 훼손될 가능성은 낮다.

    현재 국내의 내수경기는 매우 부진해 금리인상 여지가 매우 작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이 내년에 3차례의 금리인상을 단행할 경우 내년 4분기에 미국의 단기금리는 국내의 단기금리 보다 더 높아지게 된다. 그렇다면 국내에 유입된 외국인 자금이 유출되어 원화 가치가 크게 하락할 것인가? 채권에서는 자금이탈이 발생할 여지가 있지만, 국내가 금리인상을 단행하지 않고 수출의 회복으로 내수도 함께 회복된다면 주식으로 자금은 유입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1순위로 봐야 할 것은 국내의 경제성장 개선 여부이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참조하세요]

    ★ 증시라인 11 , 평일 오전 11시 LIVE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