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인공지능 산업이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신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우리나라 기술은 선발주자에 비해 한참 뒤쳐졌습니다.
이 때문에 국내 대기업과 정부가 서둘러 인공지능 연구소를 만들어 기술 따라잡기에 나섰습니다.
이주비 기자입니다.
<기자>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인공지능, AI 산업.
세계 각국과 기업은 AI 경쟁력 확보에 고군분투 중입니다.
AI 산업의 선두주자인 미국 뿐 아니라 독일, 일본은 민간 주도의 AI 연구소를 설립해 기술 개발에 한창입니다.
한 발 늦었지만 국내 기업들도 AI 산업 싱크탱크 역할을 맡을 민간 연구원을 설립했습니다.
연구원은 네이버와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KT, 한화생명, 현대자동차 등이 30억 원 씩 투자해 자본금 210억 원으로 시작합니다.
정부는 초기 정착을 위해 매년 150억 원씩 5년 동안 총 750억 원 규모를 지원한다는 계획입니다.
연구원을 이끌 김진형 초대 원장은 AI 기술 상용화 연구에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김진형 지능정보기술연구원장
"저희는 후발주자이기 때문에 상용화 연구에 집중해 국내에서 개발된 여러 기술과 국외에서 개발된 기술들을 다 모아서 쓸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그런 연구를 집중할 계획입니다"
문제는 AI 산업을 이끌 우수 인력 부재.
수학이나 통계학 등 기본이 되는 학문에 대한 우수한 학생들의 기피 현상도 심해지는 상황입니다.
김 원장은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좋은 인력을 계속 충원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인터뷰> 김진형 지능정보기술연구원장
"사람 자체가 없어요. 저희 연구소는 고급 인재를 양성하는 사명도 갖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김진형 원장을 비롯해 AI 분야 세계 유수 석학들은 오는 13일 그랜드 하얏트호텔에서 열리는 `2016 글로벌 인더스트리 쇼퍼런스`에서 우리나라 AI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모입니다.
한국경제TV 이주비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