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서울 역세권 청년주택 첫 공급

관련종목

2024-06-30 09:09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서울 역세권 청년주택 첫 공급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서울시가 지하철과 버스정류장이 가까운 역세권 지역에 청년 임대 주택을 2만5천가구 규모로 공급합니다.

    오는 11월 충정로와 삼각지에 처음 선보이는데, `2030세대`의 주거비 부담이 완화될 전망입니다.

    보도에 홍헌표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시의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은 2만5800가구 규모를 목표로 올해말부터 사업에 들어갑니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지하철이 2개 이상 교차하거나 버스정류장이 250m 이내에 있는 대중교통중심지에 임대주택을 짓는 사업입니다.

    민간사업자가 참여하면 서울시는 용적률 완화와 건설자금 대출, 재산세·취득세 감면 등 각종 혜택을 제공합니다.

    현재 민간사업 신청은 230건이 접수됐고 이 가운데 사업성이 있는 87건을 우선적으로 진행됩니다.

    가장 먼저 공급되는 곳은 삼각지에 1,100세대, 충정로에 500세대로 오는 11월 착공해 빠르면 내년 말 입주가 가능합니다.

    공공임대를 선택하면 주변시세의 60~80% 수준인 임대료를 부담하면 되고 준공공임대로 결정하면 8년간 임대료 상승률이 5% 이내로 제한됩니다.

    서울시는 역세권 청년주택이 들어서는 주변 지역경제도 활성화하는 방안을 내놨습니다.

    <인터뷰>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
    "역세권을 집중적으로 개발함으로 해서 청년주택도 많이 짓지만 낙후돼 있는 역세권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청년들의 꿈과 희망을 지원하고자한다 "

    임대주택 주변에 창업지원센터와 교육시설, 공연·전시장 같은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을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사업을 가속화하기 위해 `청년주택 통합실무지원단`을 만들고 자금력이 부족한 토지주인을 위해 전용 금융상품도 이달 중 출시하기로 했습니다.

    한국경제TV 홍헌표입니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