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고 나서면서 한국 경제에 미칠 부정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지난 26일(현지시간) 와이오밍 주(州) 잭슨홀에서 열린 경제정책회의에서 "견고한 고용시장과 미국 경제전망 개선 등의 측면에서 볼 때 연준은 금리를 인상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밝혔다.
스탠리 피셔 연준 부의장도 언론 인터뷰에서 올해 2차례의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이런 발언들은 금융시장에서 앞으로 미국의 고용지표 등이 좋게 나오면 연준이 연 0.25∼0.50%인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한국의 통화정책과 환율, 수출 등 실물경제에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우선 채권, 주식 등 증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또 미국의 금리 인상은 신흥국 경제의 불안을 키움으로써 한국 경제에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된다.
우리나라의 월별 수출액은 작년 1월부터 올해 7월까지 19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하고 있다.
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경기 부진이 우려되는 한국 경제의 시름이 커질 수 있는 것이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미국이 금리를 올릴 경우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우리나라 수출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라며 "국내 금리 정책의 유연성을 떨어뜨려 내수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미국의 금리 인상 시점이 다가오면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릴 여력이 줄어들었다는 게 중론이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내리면 미국과 금리 차이가 줄어들어 외국인 자본의 유출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특히 하반기에 국내 경기가 심각하게 나빠져도 기준금리 조정을 통한 처방을 내리기 어려워진다.
또한 장기적으로 보면 미국의 금리 인상이 가계부채의 위험성을 키울 것으로 우려된다.
미국의 통화정책을 따라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가계의 원리금(원금과 이자) 상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저소득층, 자영업자,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의 대출이 부실화되고 자칫 금융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
[디지털뉴스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