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부자 수가 전년대비 15.9% 증가한 가운데 금융자산 200억원 이상의 `초고자산가`의 성장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이들의 자산 축적은 주로 사업체 운영과 부모로부터의 상속과 증여, 부동산 투자로 나타났으며 자녀세대는 자수성가 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응답이 높았습니다.
6일 KB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16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부자 수는 21만 1천명으로 전년대비 15.9%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특히 금융자산 200억원 이상을 보유한 ‘초고자산가’의 높은 성장세를 나타낸 가운데 부자 수와 금융자산은 2011년 14만2천명(318조원)에서 2015 년 21만1천명(476조원)으로 연평균 10%씩 증가했습니다.
부자의 44.7%는 서울, 20.3%는 경기, 7.0%는 부산에 분포돼 있으며 서울과 부산의 비중은 2011년 대비 감소 추세인 반면, 그 외 대부분 지역은 증가했습니다.
서울내 대표 부자 지역인 강남 3구의 비중도 2011년 37.8%에서 2015 년 36.7%로 하락추세를 나타냈습니다.
현재 자산을 축적한 주된 방법으로 사업체 운영, 부모의 증여와 상속, 부동산 투자 등으로 나타났으며 사업체 운영과 부모의 상속에 의한 자산 형성은 증가한 반면, 부동산 투자는 감소했습니다.
부자로 인식되기 위한 최소 자산과 향후 목표로 하는 자산 규모도 줄어들었습니다.
‘부자’로 인식되는 최소 자산은 지난 2012년 100억원에서 2016년 70억원으로 감소한 가운데 향후 100억원 이상의 자산을 목표로 하는 비율도 줄었습니다.
50억원에서 100억원 사이를 목표로 하는 비중은 점차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자녀 세대는 자수성가 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동의율이 58%, 73%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우리나라 부자들의 총자산 구성은 금융자산이 43.6%, 부동산자산이 51.4%, 기타자산 5.0% 등으로 나타났으며 2012년 이후 부동산자산 비중은 하락세를. 반면 금융자산 비중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약 90%의 부자들이 저성장·저금리가 심화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62.8%는 국내 경기 가 장기 불황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투자의 경우 일정 수준의 위험과 그에 따른 수익만을 추구하는 위험중립형 성향 증가세 지속되고 있습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증여와 상속 등과 관련해 부자들은 ‘세금 혜택’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응답이 35%로, 안전성과 수익성 보다 되레 높았습니다.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보험 등 절세 금융상품 가입’, ‘세무사와 상담’ 등을 이행하고 있으며 금융자산이 클수록 금융기관과 세무사 등의 전문가 활용 비중이 높았습니다.
은퇴 이후 월평균 생활비는 715 만원으로 일반인 평균인 226 만원의 3배 수준에 달했습니다.
부자들은 배우자와 손자녀를 상속과 증여 대상으로 생각하는 비율이 전년대비 크게 늘어난 가운데 상속과 증여 수단으로 ‘현금과 금융상품’의 활용 비중이 증가 추세를 보이며, 부동산과 금융자산의 균형을 통해 적합한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