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사태`가 뒤늦게 전국을 뒤흔들고 있는 가운데, 이 문제의 시작부터 끝까지를 다룬 방송이 방영 예정이다.
이미 2006년부터 이상한 폐렴환자들이 잇따라 의료계에 보고됐다. 소아과 교수들이 논문을 통해 영유아들이 이상한 폐렴 증상을 보인다고 보고했다. 이들은 정부에 관심을 가져야 할 사안이라며 보고했고 2007년에는 환자 폐의 분비물까지 정부에 보내 질의했지만 `바이러스성 질환`은 아니라는 미온적 답변만 들을 수 있었다. 비슷한 환자들이 전국에서 이어지자 소아과 교수들은 2008년에 두번째 논문을 발표하고 전국적인 네트워크 구축과 공동연구에 나설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의료계의 긴박함과 달리 정부는 미온적인 대응이었다.
◆ 사건 발생 5년…뒤늦게 드러난 사실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이 병원에서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폐 섬유화`로 진단명을 받기까지 5년여 세월이 걸렸다. 그렇게 원인과 결과가 밝혀진 뒤 또다시 5년의 세월이 흘렀다. 가해 기업들은 정부에 의해 밝혀진 사실을 논란으로 만들었고 이를 위해 학자들의 실험보고서를 활용했다. `조작` `은폐` 의혹이 검찰수사로 민낯을 드러내고 있다.
◆ 임산부와 태아에 영향을 미쳤다?지난 5년간 실체를 알지 못했던 사실도 확인되고 있다. 서울대 C 교수의 생식독성 보고서, 임신한 쥐 15마리 중 새끼 쥐 13마리가 사산하는 매우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사람은 어떨까? 피해자들 중엔 태아와 신생아 둘을 연이어 잃은 엄마가 있다. 건강한 아이를 출산한 경험이 있던 여성이다. 임신 초기 한 두 달 가습기 살균제 사용이 전부인 모체에서 태어난 아이가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폐 손상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 사례도 있다. 모체를 통해 태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동물실험과 피해 사례들이다.
◆ 논란의 CMIT/MIT2011년 정부의 동물실험은 폐 손상에 집중됐다. 당시 의학계가 주목했던 것이 폐 손상이었기 때문이다.CMIT/MIT제품 사용자들은 폐 손상은 아니지만 가습기 살균제 사용 이후 천식, 자가면역질환, 후두염 등 다른 장기의 질환을 앓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그런데 지난해 정부의 피해 집계 결과 CMIT/MIT로 인한 1단계(살균제 연관성 거의 확실) 피해자가 3명으로 확인됐다. 다른 제품과 섞어 쓰지 않고 오로지 CMIT/MIT 제품만 사용한 환자들이다. 폐 손상조사위는 CMIT/MIT에 대한 재조사가 필요하다고 환경부에 권고했고 환경부는 이를 받아들였다.
◆ 방치된 위험 17년의학계가 `원인 미상 중증 폐 질환`에 주목한 것은 2006년이다. 2008년까지 질병관리본부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촉구했지만 바이러스성 질환은 아니라는 게 정부 결론의 전부였다. 환경부 역시 2011년 집단사망사건이 실체를 드러낸 뒤에야 유해화학물질로 분류하고 관리하기 시작했다.
17일 밤 10시 KBS 1TV를 통해 방송되는 시사기획 창 <가습기 살균제 `안전 공백` 17년>에서는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의 사연을 통해 가습기 살균제가 첫 출시된 1994년부터 판매 금지되기까지 17년간 부실했던 당시 정부의 구조적 안전 시스템을 되짚어보고 개선점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