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모두가 흡연자일 때, 집안에 흡연자가 없을 경우보다 청소년의 흡연 확률이 무려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청소년 흡연율은 친한 친구가 흡연자일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16.9배나 높아
주위의 사회적 환경에 큰, 어찌보면 절대적 영향을 받고 있었다.
17일 질병관리본부의 보고서 `청소년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적 요인`(최선혜, 김윤정, 이지혜, 오경원)에 따르면
작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결과, 부모 모두가 흡연자일 때 청소년 흡연율은 17.8%로
가족 중 흡연자가 없는 경우 4.3%보다 4.1배나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형제나 자매 중 흡연자가 있을 때 청소년 흡연율 역시 15.8%로 가족 내 흡연자가 없을 때보다 3.7배나 높았고
또 부모 중 어머니만 흡연자일 경우 13.6%로 나타나 아버지만 흡연자일 경우의 6.4%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청소년 흡연율은 친한 친구가 흡연자일 때 13.5%로, 그렇지 않은 경우의 0.8%에 비해 16.9배나 높아
친구 집단의 흡연 여부가 흡연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교에서 간접 흡연에 노출된 경우 흡연을 할 확률이 커서 `학교 내 건물 밖에서 교사 또는 학교 직원의 흡연을 본 적 있는 경우`의 흡연율이 8.9%로
그렇지 않은 경우의 4.4%보다 2배 가량 높았다.
이밖에도 청소년 흡연율은 일반계 고등학교보다 특성화계 고등학교에서, 가정의 경제 수준과 본인의 학업 수준이 낮을수록 높았다.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의 부재 내지는 빈곤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리라는 짐작이 가능한 대목이다.
일반계고(일반고, 자율고, 외국어고, 국제고, 예술고, 체육고)의 흡연율은 10.9%로, 특성화계고(특성화고, 마이스터고)의 25.6%의 절반 이하 수준이었다.
또 스스로 가정의 경제 수준이 `낮다`고 답한 경우 흡연율은 11.8%로, `높다`고 답한 경우의 7.2%보다 4.6%p 높았다.
학업 성적이 `낮다`고 답한 청소년의 흡연율은 15.2%로 `높다`고 말한 청소년의 흡연율 3.8%와 4배나 차이가 났다.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는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3학년 7만5천명을 대상으로 익명성 자기 기입식 온라인조사 방법으로 진행됐다.
작년 청소년 흡연율은 남학생 14.0%, 여학생 4.0%였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