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2

삼성, 엘리엇 반격 '촉각'…경영권 방어책 마련 시급

관련종목

2024-06-15 04:45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삼성, 엘리엇 반격 `촉각`…경영권 방어책 마련 시급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합병 승인이 났어도 뒷맛은 영 개운치 않은 게 삼성의 솔직한 심정입니다.

    미국 헤지펀드, 엘리엇이 전방위에 걸쳐 추가 공격을 예고했기 때문인데요.

    외국계 투기 자본의 공세로부터 우리 기업들을 지켜낼 보호장치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임원식 기자입니다.

    <기자>
    주총 대결에서 삼성에 패한 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의미심장한 말을 남긴 엘리엇.

    법적 소송을 포함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합병 무효`를 이끌어내겠다는 엘리엇의 강한 의지로 풀이됩니다.

    특히 주총을 앞두고 엘리엇은 삼성물산 주식을 보유한 삼성SDI삼성화재 등 다른 삼성 계열사들에 `합병에 찬성하지 말아 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삼성SDI와 삼성화재의 지분도 각각 1%씩 갖고 있는 엘리엇이 향후 이들 회사들이 합병을 지지한 데 대해 배임 행위라며 소송을 걸 여지를 만들어 놓은 셈입니다.

    주총 승리에도 불구하고 삼성이 엘리엇의 다음 카드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건 이런 이유에섭니다.

    소위 `기업 사냥꾼`을 넘어 `소송 전문가`이기도 한 엘리엇이 어떤 카드를 빼들든 이를 막기 위한 상당한 비용 발생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터뷰] 신석훈 / 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분석팀장
    "소송 뿐만 아니라 경영권에 직접 개입할 가능성이 크거든요. 소액 주주의 권리를 행사한다는 미명 하에 자꾸 뭘 요구하고 관여하기 시작하면 (삼성으로선) 굉장히 부담스럽죠."

    문제는 외국 투기자본의 공세가 우려되는 국내 기업이 단지 삼성 한 곳만이 아니라는 점.

    이른바 우량기업 지수로 불리는 KRX100 종목들 가운데 외국인 지분이 5% 이상 되는 곳만 해도 34곳이나 됩니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는 이미 절반이 넘는 지분을 외국인이 차지하고 있고 현대차 역시 절반을 바라보고 있는 상황.

    국내 기업 상당수가 지배구조가 취약해 `제2, 제3의 엘리엇` 등장은 보다 빈번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재계는 `포이즌 필`이나 `차등 의결권` 등 경영권 방어 장치가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임원식입니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