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주 접하는 사회 현상 중 하나가 우울증이다. TV나 신문, 인터넷만 보더라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우울증은 정상적인 정서의 슬픔의 감정과는 다르며 단순하게 의지가 약해서 생기는 현상도 아니다.
우울증은 가장 흔한 정신과적 질환인데
남성은 평생 10~15%정도에서, 여성에서는 15~20%가 우울증을 가능성이 있다고 할 정도이지만 문제는 우울증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고 내버려두고 있다는 실정이다.
우울증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게 없지만 신경정신과 질환 중 완치율이 가장 높은 질환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강한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해 질 수도 있지만 쇼크를 받거나 스트레스성 우울증 등 다양하지만 실제로 우울증은 체질적이고 유전적인 요인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쉽게 말해 우울증은 별 이유 없이 찾아오는 마음의 감기라고 불릴 만큼 주기적으로 오는 경우가 많다.
우울증은 어떤 일에 대하여 과도하게 신경을 기울임으로 정신에너지를 소모한 현상이므로 현실 판단력에 현저한 손상이 없는 상태에서 우울한 기분과 의욕상실을 나타낸다. 갑자기 우울한 기분이 들거나 불면증, 무기력증이 자주 나타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현상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우울증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우울증의 유형으로는 경증적 우울증, 정신병적 우울증, 외인성 또는 반응성 우울증, 산후 우울증, 그리고 갱년기 우울증 등 다양하다. 각 증상에 따라 전문의 상담 후 심리치료와 약물치료, 상담치료, 행동치료 등을 적절히 병행하면 어렵지 않게 완치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부산 서일석정신건강의학과의원 서일석 박사(신경정신과 전문의)는 "우울증의 경우 대응을 잘하지 못하면 오히려 더 큰 사고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결코 가볍게 보아서는 안 된다"며 "우울증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극복할 수 있다는 의지와 사고방식과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근본적으로 해결하며 그에 따른 치료계획을 세워 나가는 심리상담에 있으며 처음 치료를 결심하기까지는 쉽지 않은 것이 분명하지만 치료를 시작하면 누구든지 고칠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