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박근혜 정부는 지난해 대대적인 부양책을 통해 경기 회복의 불씨를 살려놓는데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경제 지표 개선에도 불구하고 국민 체감 경기는 여전히 냉랭해 시급히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았습니다.
김택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박근혜 정부는 출범 첫해 경기 회복의 불씨를 살리는데 총력했습니다.
우선 총 17조 3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 예산안을 편성하고 대대적인 재정 투입에 나섰습니다.
뒤이어 세 차례 부동산 대책와 네 차례 투자활성화 대책, 서비스와 관광산업 활성화 대책 등 각종 정책 패키지를 쏟아냈습니다.
이같은 응급 처방을 통해 정부는 꺼져가던 경제 지표를 살려놓는데 성공했습니다.
GDP 성장률은 작년 1분기를 기해 상승세로 돌아섰고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상반기 내내 부진을 면치 못하던 생산지표와 고용지표도 하반기 이후 뚜렷한 회복세를 나타냈습니다.
하지만 이같은 거시경제 지표 개선에도 불구하고 기업과 서민의 체감 경기는 여전히 냉랭합니다.
제조업의 체감업황을 나타내는 지수는 지난해 10월 한 차례를 제외하곤 8개월째 80을 밑돌고 있습니다.
가계 평균소비성향도 10년 만에 가장 낮은 73.4%까지 떨어지는 등 서민의 지갑은 굳게 닫히고 있습니다.
이처럼 가라앉은 소비는 물가 상승률을 1%대로 떨어뜨리며 내수 활성화의 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체감경기 개선을 위해선 서비스 등 비제조업 부문 육성과 부동산 경기 회복이 시급하다고 진단합니다.
<전화인터뷰>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내수 경기의 회복을 각 가계가 체감할 수 있기 위해선 수출 중심의 경기 회복세가 제조업 보다는 비제조업, 그리고 수출 보다는 내수중심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여지고요. 그리고 가계자산의 70%를 여전히 차지하는 주택부문, 부동산 경기의 회복세가 얼마나 앞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고 지속적으로 나타날지가 중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노년과 중장년층에 치우친 고용 회복세를 청년·여성층으로 확대하는 일 역시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