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은 국내 101개 기업의 리콜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운영현황 등을 설문한 결과 리콜 전담기구를 설치한 기업이 46.9%에 불과했다고 밝혔습니다.
규모별로는 중견기업(45.2%)과 중소기업(34.5%)의 리콜 전담기구 설치비율이 대기업(63.6%)보다 낮았습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100%)가 가장 높았고 식품(58.8%), 공산품(40%), 전자기기(35.7%), 의약·화장품(34.8%) 순이었습니다.
리콜 의사결정권은 대부분 최고경영자(77.7%)에게 있는 것으로 조사돼, 사업부서 임원(11.7%)이나 고객부서 부서장(3.2%)등 실무 담당자의 결정권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리콜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자진리콜의 경우 64.5%, 강제리콜은 7.3%가 긍정적이라고 답했습니다.
리콜 진행 시 적극성을 띠지 못한 이유(복수응답)로는 `소비자와 언론의 부정적 인식`(82.5%)을 가장 많이 꼽았고, 소비자 불신에 따른 매출 감소(62.9%)와 소비자의 과도한 보상 요구(58.8%)가 뒤를 이었습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