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3

전세 탈출 '경매가 기회'

관련종목

2024-06-03 22:35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전세 탈출 `경매가 기회`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전세 수요자들이라면 주목할 만한 뉴스인데요.

    최근 전셋값 수준에서 경매 낙찰사례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권영훈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가을 이사철은 다가오는데 전셋값은 거침없이 오르면서 전세 수요자들의 시름도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전세난 탈출 방법으로 경매가 새삼 주목받고 있습니다.

    한 부동산경매전문업체에 따르면 올들어 수도권 지역의 감정가 2억원 이하의 주택 경매물건수는 1만6천여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천여건이 늘었는데, 평균 낙찰가율은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시말해 경매를 통해 전셋값 수준으로 내집마련할 수 있는 기회는 늘고, 가격은 내렸다는 겁니다.

    <인터뷰> 하유정 지지옥션 연구원

    "낙찰가율이 5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지금이 전세탈출의 적기라고 본다"

    실제로 도봉구 방학동 삼익세라믹아파트의 전용 42.9㎡는 최근 감정가 1억9천만원의 70%인 1억3천만원에 낙찰됐습니다.

    이 아파트 전셋값이 9천만원선인 걸 감안하면 약 4천만원 밖에 차이가 안 납니다.

    또다른 아파트인 인천 서구 왕길동 유승아파트의 전용 60㎡는 낙찰가와 전세가격간 차이가 3천만원에 불과합니다.

    수도권에서 1억원대 경매가격으로 집을 살 수 있는 물건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다음달 전국적으로 아파트 입주물량은 1만 5천가구. 1년전과 비교해 절반이나 줄어든 수칩니다.

    <기자 클로징>

    "아파트 입주물량 감소가 전세난을 더욱 부추기는 가운데 경매가 전세 탈출의 묘책으로, 내집마련의 대안투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권영훈입니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