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4.89

  • 26.72
  • 0.98%
코스닥

871.33

  • 0.66
  • 0.08%
1/1

2조원 규모 13개 공공기관 이전부지 매각 확정

관련종목

2024-06-14 08:24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조원 규모 13개 공공기관 이전부지 매각 확정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총 2조원 규모의 13개 공공기관 이전부지가 매각됐습니다.

    전체 119개 이전부지 중 52개의 매각이 확정됐지만 아직 갈 길이 멉니다.

    보도에 신용훈 기자입니다.

    <기자>

    총 2조원 규모의 지방이전 공공기관 부지가 농어촌공사에 매각됐습니다.

    이번에 매각이 결정된 곳은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 산하 8개 기관이 보유한 부지들로 전체 면적은 약 3백만㎡에 달합니다.

    전체부지 가운데 70%가 넘는 땅이 농지여서 그동안 일반매각이 어려웠지만 정부 부처간 협의를 통해 매각을 최종 확정한 것입니다.

    <인터뷰>백원국 국토부 종전부동산기획과장

    "농어촌 공사가 매입한 후 해당 지자체와 협의해서 활용계획을 수립한다. 활용계획이 수립되면 도시관리계획에 반영되고 2015년에 일반에 매각하게 된다."

    이번 매각으로 119개 종전부동산 중 52개가 팔렸지만 아직 절반 이상은 새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랜 경기침체로 종전부동산을 매입할 만한 대규모 자금이 고갈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김은경 대한생명 부동산전문위원

    "대규모의 단일 부지를 한 번에 매입할 수 있는 곳은 개인은 물론이고 기업조차도 현재 경기침체 상황에서는 쉽지 않다."

    <전화인터뷰>함영진 부동산써브 실장

    "PF사업도 용의치 못하고 자금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대규모 자금이 시장에 들어오기는 어렵기 때문에..."

    부지를 매각한 자금으로 지방이전 비용을 마련해야 하는 정부로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국토부는 지자체와 협의해 토지이용규제를 완화하는 등 부지 구매력을 높인다는 방침이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습니다.

    부지 매입자가 의도대로 개발하기에는 지자체 반대가 거세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종전부동산이 입지여건과 가격경쟁력을 갖추고도 일반매각이 지지부진한 이유로 소규모 투자가 어렵다는 점을 꼽습니다.

    <기자스탠딩>신용훈 기자 syh@wowtv.co.kr

    전문가들은 공공기관 이전부지 매각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대규모의 토지를 분할 매각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때라고 덧붙였습니다.

    한국경제TV 신용훈입니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