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금융회사를 사칭한 보이스피싱 사기로 인해 소비자의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금융회사들도 나름대로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발신번호 조작 앞에선 뾰족한 수가 없습니다.
김동욱 기자입니다.
기자>
회사원 A씨는 최근 저축은행 직원으로부터 전화 한통을 받았습니다.
직원은 A씨에게 대출을 하려면 보증서가 필요하다며 신용보증기금 영업점 대표번호를 알려줬습니다.
A씨는 신보 영업점 대표전화번호로 온 문자에 전화를 걸었고 신보 직원은 보증을 미끼로 개인정보를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알고보니 그들은 실제 직원이 아니라 보이스피싱 사기단이었고 A씨의 통장에서는 600만원이 인출됐습니다.
사칭번호로 온 문자에서 바로 통화버튼을 누를 경우 다른 회선을 통해 사기범들에게 연결돼 속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인터뷰> 류충원 신용보증기금 팀장
"신보 번호인데 KT에다 물어보니까 (발신번호)조작을 하면 그게 가능하다고 합니다." "믿을 수밖에 없습니다. 피해자들은.."
이처럼 전화를 이용한 신종 금융사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금융회사들도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은 피싱사이트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70억원을 들여 사이트 보안을 강화했습니다.
인터뷰> 이동균 국민은행 e-뱅킹사업부 차장
"발신전화 같은 경우에는 은행에서 어떻게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다만 사이트에서 녹색 주소창이라던가 피싱 방지 개인화 이미지 등의 여러가지 개인이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해서 진짜 국민은행 사이트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 방통위가 지난해 발신번호를 조작할수 없도록 하는 내용의 법안을 제출했지만 18대 국회에서는 폐기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당국과 금융회사들이 나름대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원천적으로 보이스피싱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막히면서 애만 태우고 있습니다.
WOW-TV NEWS 김동욱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