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철 기자> 어제 190포인트 빠졌던 다우지수 오늘 장중에 200포인트가 넘나들게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장 막판 하락폭을 다소 줄였다. 130포인트 내외로 빠져서 어제 오늘 이틀 간의 하락폭이 300포인트가 넘는다. 일단 유럽 문제가 크다. 내부적으로 미국의 경제지표는 조금씩 조금씩 개선된 조짐을 보여주는 데이터가 최근 나오고 있다.
지난달 데이터가 좋아졌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특히나 유럽의 재정 위기 그리고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이후에 경제지표가 고용지표 주간고용지표 그리고 주택허가 건수와 같은 조금은 지금까지 햇볕이 들지 않았던 부분에 대해서 약간의 개선조짐을 보여주고 있는 건 분명히 긍정적인 신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악재가 너무 컸다. 오늘 스페인이 국채발행에 나섰다. 당초 40억 유로 국채발행을 계획했는데 수요가 기대치에 못 미쳤다. 사겠다는 사람사람이 없었다. 35억 유로 발행했는데 발행금리가 거의 7%에 육박하고 있다. 한때 국채금리가 7% 넘어서면서 스페인마저 7%가 넘어서면서 7%라는 것 마지노선으로 여겨지고 있다.
앞서 구제금융을 신청했던 유로존 3개 국가 그리스 아일랜드는 포르투갈 한 달에서 석 달 만에 국가 디폴트 국가 채무 불이행 구제금융을 신청했던 경험 때문에 7%가 넘어서면 위험하다는 인식이 컸는데 이탈리아가 최근 나흘 연속 7% 넘나들고 있는데다 스페인마저 7% 넘어서면서 국제시장에서는 유로존을 남유럽존 유로존 17개 국가에 대한 우려가 상당히 팽배해 있다.
그러나 유럽중앙은행이 계속 국채금리를 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로존의 국채금리가 오르고 있어서 이게 더 큰 화근이다. 독일의 메르켈 총리 더 이상 유럽중앙은행이 나서서 국채매입 하지 말라고 강하게 발언하고 있는데 유로존 국가 내부에서도 ECB 유럽중앙은행이 각국의 국채 매입을 하는 데에 대해서 반대 의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오늘의 주요 이슈를 호악재로 나눠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호재성 재료다. 지난 주 미국 신규실업급여신청 건수가 지난 4월 이후 7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신용평가사인 스탠다드앤푸어스가 브라질의 국가신용등급을 상향조정했다. 지난달 미국의 건축허가 건수가 최근 1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다음은 악재성 요인이다. 신용평가사인 피치는 이탈리아가 이미 경기침체 빠져있을 수 있다며 시장접근에 실패해 자금조달이 어려워지면 신용등급을 강등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스페인의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이 한때 7%를 넘어섰다. 프랑스의 국채와 독일의 국채 10년물 금리격차 스프레드도 장중 유로화 도입 이후 처음으로 2%포인트 넘어섰다.
오늘 미국은 사실 내일이 옵션만기일이다. 미국은 매월 셋째 주 금요일이 옵션만기일이다. 증시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데 유럽의 문제가 이렇게 불거지니까 안전자산 위험자산 할 것이 없이 모두 내다 팔았다. 어제 5개월여 만에 배럴랑 100달러 선 넘었던 국제유가 마저 투매하면서 안전자산 위험자산 모두 하락세를 보였는데 가장 큰 이유는 이탈리아에 대한 투자의견 신용등급이 강등될 수도 있다는 경고가 또 다시 나왔다.
피치사가 마리오 몬티 이탈리아 총리 새 내각을 거국 내각을 구성하면서 출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채금리는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이렇게 높아진 국채 발행 금리로 인해서 자본조달 비용이 높아지게 되면 더 이상 이탈리아가 버틸 수 없게 된다. 이렇게 되면 투자적격 의견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으로 투자 의견을 강등할 수도 있다고 경고를 하고 있다.
여기에다 ECB가 오늘 스페인 이탈리아의 국채를 계속해서 사들이고 있다. 그러나 ECB 역시 여유자금이 만만치 않다. 지금 4400억 유로 가운데 2500억 유로 정도를 보유하고 있는데 연일 7% 넘나들고 있는 이탈리아 스페인의 국채를 사주느라 국채가 남아 있는 상황이 아닌데 이에 대해서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더 이상 ECB가 시장개입을 하지 말아라 라고 강경발언을 하고 나섰다.
그러나 정작 위기가 전염될 프랑스 아일랜드의 경우는 반대하고 있다. ECB가 적극 나서서 국채 매입을 해줘야 시장에서 자금조달이 가능하다고 반발하고 있어서 17개 회원국 내에서도 ECB의 시장개입을 둘러싼 논란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