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남성의 흡연율과 음주율이 호남은 낮고 강원과 영남 지역이 높은 ''동고서저(東高西低)'' 현상이 지속됐다.
대체적인 흡연율과 음주율이 3년째 큰 변화가 없이 높게 나타나 강력한 금연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전국 보건소를 통해 ''2010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실시한 결과 흡연율과 음주율이 지역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면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성인 남성의 흡연율은 강원과 제주가 각각 52.7%, 52.3%로 가장 높게 나와 ''골초'' 지역으로 꼽힌 반면 광주(43.3%), 전북(44.1%), 서울(44.2%)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지역별 흡연율은 43.3∼52.7% 사이에 분포하며 모든 지역이 지난 3년간 변화없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도 과천시가 32.9%로 2년 연속 최저를 기록했고, 경북 의성군은 62.4%로 강원 태백시(61.3%)를 제치고 최고 흡연율 지역이 됐다.
성인의 월간 음주율도 울산(60.4%), 경남(59.9%), 부산(59.6%), 강원(57.4%) 등이 상위권인 데 반해 전남(48.0%), 전북(48.1%), 충남(50.7%) 등은 하위권을 형성했다.
특히 최소 7잔(여성은 5잔) 이상을 마시는 술자리가 주 2회 이상인 ''고위험 음주율''도 강원(18.9%), 경남(18.1%), 제주(17.4%)가 높았던 반면 전남(10.8%), 광주(12.2%), 울산(12.4%)은 낮았다.
시·군·구별로는 강원 속초시(24.5%), 삼척시(23.8%), 고성군(23.5%) 등이 ''술고래'' 지역에 속했고, 전남(10.8%), 광주(12.2%), 울산(12.4%)은 고위험 음주율 최하위 그룹에 속했다.
이런 지역적 편차에 대해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흡연율은 통상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이 있고 지역 단위로 보면 유사한 경향이 보인다. 그러나 인구 대비 주점 수도 관련성이 있으며, 지역 보건기관의 대주민 금연교육 횟수 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어떤 삶의 조건이 이런 차이를 가져오는지는 조사자료만으로 판단이 어렵다"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지역 보건소 관계자의 의견을 종합해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3년간 음주율은 늘고 고위험 음주율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지만 두 지표 모두 표준오차 안의 범위에서 움직인 것으로 추세 변동으로 볼 수는 없다고 질병관리본부는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금연과 절주가 필요한 고혈압과 당뇨병 진단자의 흡연율과 고위험 음주율이 높아 질환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고혈압 진단자의 흡연율과 고위험 음주율은 각각 15.9∼19.6%, 6.5∼14.0%, 당뇨병 진단자의 경우는 각각 19.2∼26.2%, 7.5∼14.7%였다.
심지어 고혈압과 당뇨병 동반 진단자의 흡연율과 고위험 음주율도 16.0∼27.4%, 7.2∼22.6%에 달했다.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인 비만 인구의 지역별 분포도 차이를 보였다.
음주율과 흡연율이 모두 높았던 강원(27.0%)이 가장 높은 비만율을 나타냈고 제주가 26.9%로 2위를 기록한 반면 대전(20.1%), 대구(20.8%)가 최하위권이었다.
체중을 줄이거나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 사람의 비율은 서울(56.0%), 제주(55.2%), 울산(55.0%), 대전(53.5%) 등이 높았고, 전남(39.2%), 경북(41.4%), 충남(41.8%) 등은 낮았다.
정신건강 측면에서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사람의 비율인 ''스트레스 인지율''은 인천(30.6%), 대전(30.1%), 서울(29.5%)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전남(23.0%), 경북(24.1%), 울산(24.3%) 등은 낮았다.
연간 연속으로 2주 이상 일상생할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우울감을 경험한 사람의 비율인 ''우울감 경험률''은 서울이 6.8%로 최고, 충북이 4.0%로 최저였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런 조사결과를 30, 31일 청주에서 열리는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보고대회에서 발표하고 대응방안 등을 논의한다.
또 조사결과를 담은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 책자와 함께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전국건강지도도 제작해 공개한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