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펀드 시장에서 주식형 투자자들은 대체로손실을 봤지만 채권형 투자자들은 돈을 번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주식형 펀드에서는 액티브 펀드보다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가 월등히 높은 성과를 거뒀다.
해외 주식형 펀드 중에선 러시아와 브라질펀드의 성적이 돋보였다.
◇ 채권형 수익률 '양호'…9월부터는 자금이탈 18일 펀드평가업체 제로인이 지난 15일 기준 상장지수펀드(ETF)를 제외한 운용순자산 10억원 이상, 운용 기간 2주 이상 공모펀드의 올해 누적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채권형 펀드 평균 수익률은 1.33%로 집계됐다.
국내 주식형 펀드(-0.56%)와 비교하면 양호한 수준이다.
채권형 펀드의 선전에 따른 투자자금의 쏠림현상도 두드러졌다.
국내 채권형 펀드에는 올해 들어 3조8천157억원의 자금이 몰렸다.
반면에 국내 주식형 펀드에서는 7조2천561억원이 빠져나갔다.
특히 미국의 금리인상 우려에 따른 자금 유출이 시작되기 전인 지난 8월까지 국내 채권형 펀드에 몰린 자금은 6조원에 육박했다.
그러나 9월 들어 미국의 금리인상 우려가 부각되면서 채권형 펀드에서도 자금유출이 시작됐다.
9월부터 이달 15일까지 이탈한 자금은 2조693억원이다.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국내외 금리가 급등세를 보이자지난달에만 1조2천406억원이 빠져나가는 등 채권형 상품에 대한 투자 열기는 급속히식어가는 양상이다.
국내 채권형 펀드의 최근 3개월 수익률(15일 기준)도 마이너스(-0.63%)로 돌아섰다.
오온수 현대증권 연구원은 "저금리 시대의 투자 대안으로 연초부터 채권형 상품이 인기를 끌었다"면서 "미국 금리 인상 우려와 트럼프 후보의 당선으로 손실이 난채권형 펀드에서 자금을 빼는 흐름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 국내주식형은 인덱스, 해외주식형은 '러·브'펀드 선전 올해 부진했던 국내 주식형 펀드에서는 인덱스펀드와 액티브펀드의 성과가 극명하게 갈린 게 가장 큰 특징이다.
국내 주식형 펀드의 유형별 수익률을 보면 K200인덱스펀드가 8.69%로 성적이 특히 좋았다.
그러나 나머지 유형은 모조리 손실을 봤다.
작년 중·소형주의 약진으로 높은 성과를 거둔 중소형주식펀드는 올해 13.59%의평가손실을 기록해 가장 저조한 성적표를 받았다.
일반주식펀드(-4.35%)와 배당주식펀드(-0.46%)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국내 주식시장의 투자 스타일이 '중소형 성장'에서 '대형 가치'로 바뀌는 양상이나타나면서 이런 결과를 낳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문수현 NH투자증권[005940] 연구원은 "삼성전자[005930]와 경기민감 대형 가치주들이 반등하는 과정에서 액티브펀드가 빠르게 대응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인덱스 투자를 주로 하는 외국인 자금이 증가한 반면 국내 주식형 펀드에서 자금이탈이 지속된 것도 수급 측면에서 액티브펀드가 맥을 못 춘 원인으로 꼽힌다.
해외 주식형 펀드도 올해 평균 -1.80%의 수익률로 성과가 좋지 않다.
그러나 원자재 가격의 반등으로 러시아와 브라질 등 자원 부국에 투자하는 펀드는 월등히 높은 성적을 냈다.
러시아와 브라질펀드는 연초 이후 각각 49.49%와 47.89%의 수익률을 올렸다.
펀드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러시아 RTSI 지수는 올 들어 51.76% 뛰었고, 브라질의 대표 증시 지수인 보베스파(BOVESPA)는 34.28% 상승했다.
기초소재펀드(42.95%)와 남미신흥국펀드(24.17%)도 원자재 가격 상승 덕분에 선전했다.
그러나 지난해 성과가 좋았던 헬스케어펀드는 올해 제약·바이오주의 부진으로-16.93%의 평가손실을 기록했다.
중국펀드(-7.93%)와 아시아태평양(일본 제외)펀드(-4.74%)도 고전을 면치 못했다.
문 연구원은 "트럼프 정부의 재정정책 확대에 따른 미국 경기개선 전망과 유럽중앙은행(ECB)의 정책 기대감에 최근 글로벌 증시가 상승했다"며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합의로 유가도 배럴당 50달러 수준을 회복함에 따라 당분간 위험자산의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hyunmin623@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