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2

<오늘의 투자전략> "서머 랠리 속 종목별 대응에 주력해야"

관련종목

2024-06-16 09:48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투자전략> "서머 랠리 속 종목별 대응에 주력해야"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글로벌 증시에서 이른바 '골디락스(Goldilocks·높은 성장 속에도 인플레이션 우려가 없는 상황)'가 진행되고 있다.

    미국 경제가 순항하는 상황에서 중국은 구조조정 압력에도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

    완전고용 상태에 진입했지만, 낮은 인플레이션으로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는금리 인상을 미루고 있다.

    신흥국은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의 안정세와 통화 강세로 올해 들어 증시가예상을 뒤엎고 선전하고 있다.

    당분간 변동성을 우려할 만한 변수도 딱히 보이지 않는다.

    다음 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현지시간 20∼21일)와 원유 생산량 동결을논의할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의(26일)가 단기적으로 남아 있는 주요 이벤트이다.

    결국 시장이 과도하게 앞서가 '밸류에이션(가치평가) 부담'이 과중해지지 않는다면 서머 랠리는 조금 더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밸류에이션 부담'은 신중하게 확인해 나갈 필요가 있다. 서머 랠리(Summer Rally)는 여름 휴가철을 앞둔 6∼7월경에 주가가 올라 강세장이 나타나는 현상을말한다.

    미국과 한국 증시의 올해 2분기 실적 발표가 대체로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마무리되고 있다.

    잠정 집계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기업 중 78%가 애초 시장 기대를 넘어서는 분기 순이익을 발표했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 지수 내 100개 국내 기업 중 절반을 조금 넘는 55% 정도가 애초 전망치를 웃도는 실적을 냈다.

    다만 미국은 작년 대비 매출과 순이익 성장세가 모두 뒷걸음질을 쳤다.

    한국은 매출이 답보 상태에서 구조조정과 비용 절감에 따른 이익 개선을 달성했다.

    이는 주식시장이 추가 상승 때마다 '고평가 논쟁'이 커질 수 있음을 뜻한다.

    즉 시장의 예상을 충족하는 실적은 당장 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이 되지만, 양적 또는 질적 성장이 담보되지 못한다면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연중 최고치에 도달한 주식시장의 지속 상승을 위해선 펀더멘털(기초여건) 개선에 대한 신뢰가 강화돼야 한다고 본다.

    특히 국내 시장에선 올해 3분기 들어 원화 강세 우려가 커져 대형 수출주의 실적 기대감이 낮아지고 있다.

    주식시장에 대해 긍정론을 유지하되, 이제부터 지수 상승보다 종목별 대응에 주력하는 것이 더 필요해 보인다.

    (작성자: 유승민 삼성증권[016360] 투자전략실장 strategist.you@samsung.com) ※ 이 글은 해당 증권사 애널리스트(연구원)의 의견으로,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