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주식시장의 가격제한폭이 기존15%에서 30%로 확대될 예정인 가운데 증권업계도 관련 시스템과 제도를 정비하느라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증권사들은 전산개발팀 등을 중심으로 새 가격제한폭 적용이 가능하도록 홈트레이딩시스템(HTS)과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등을 손보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가격제한폭 확대에 따른 화면별 설정값 변경, 거래소 시스템과의 연동, 투자자들에 대한 공지 등까지 처리해야 할 업무가 상당히 많다"며 "6월 제도 시행 시기에 맞추려면 바쁘게 움직여야 한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특히, 중소형 증권사들이 개편 작업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키움증권 등 전산 관련 인프라가 전통적으로 튼튼한곳, 개발팀 인력이 풍부한 대형사 몇 곳 등을 제외하면 모두 빠듯한 일정 속에 작업을 진행 중일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이 제도의 시행 시기가 종전 4~5월에서 6월로 늦춰진 것도 증권사들이 준비 부족을 이유로 난색을 표했기 때문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지난 2~3월 증권사들을 상대로 연 제도 설명회에서 NH투자증권의 경우 합병 이후 전산 통합 작업도 마치지 못한 상태라는 점을 강조했고, 다른증권사 상당수도 시간이 너무 촉박하다는 뜻을 전해왔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업계 요구 등을 반영해 시행 시기를 6월로 조율한 만큼 이번에는별다른 문제 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거래소는 다음 달부터 증권사들과 함께 모의 테스트를 거쳐 세부 오류를 수정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전국 대도시에서 각 증권사 지점을 상대로 가격제한폭 확대에대한 설명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증권사들이 시스템 정비와 함께 골머리를 앓는 부분은 신용거래(개인투자자가증권사로부터 돈을 빌려 투자)와 관련한 리스크 확대다.
주가 하락폭이 30%까지 늘어나면 신용공여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수준을 높여야 하는데, 이 경우 투자자들이 이탈할 가능성이 커 증권사들끼리 '눈치보기'를 하는 실정이다.
증권사들은 미수채권 발생을 막고자 마진콜(추가 담보 요청) 기한을 줄이는 방안, 증거금률을 높이는 방안 등을 저마다 검토 중이지만, 아직 분명한 방침을 밝힌곳은 없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신용거래가 증권사에 쏠쏠한 수익을 안겨준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이와 관련된 비율을 홀로 과감히 조정할 수 있는 회사는 많지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들 분주한 시간을 보내는 가운데 거래소는 일단 예정대로 6월 중순 제도를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거래소 고위관계자는 "예정대로 6월 중순 시행을 목표로 준비 중이며 증권사들에도 이를 알린 바 있다"며 "금융위원회와 협의해 최종 결정하겠지만 현재로서는 상반기 시행 계획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내츄럴엔도텍의 '가짜 백수오' 의혹이 제기된 지난 22일 코스닥지수가 장중 5% 폭락하는 등 변동성이 커진 상황에서 가격제한폭 확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그러나 거래소는 가격제한폭 확대에 따라 일시적으로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이 활성화되고 기업가치가 제대로 평가되는 여건이 마련될것으로 보고 있다.
거래소는 가격제한폭 확대로 인한 과도한 가격급변 등에 대비해 시장안정화 장치를 개편할 예정이다.
현재 하루 1회 발동 가능한 서킷브레이커(CB) 제도는 8%, 15%, 20% 등 지수하락률 단계별 발동구조로 전환된다.
전일 종가 혹은 직전 단일가 대비 주가 변동 폭이 10%를 넘으면 단일가매매로전환되고 단일가매매 가격을 기준으로 다시 변동 폭이 ±10%로 재설정되는 정적 변동성 완화장치도 도입된다.
sj9974@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