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절상의 부가가치 민감도 -0.05%로 급락산업구조 변화 여파로 고용 감소폭도 줄어
환율 하락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원화 강세가 수출 제조업에 주는 마이너스 효과보다 소비재와 자본재 수입에 미치는 플러스 효과가 더 커지면서 환율 변동에 따른 경제 전체의 부가가치 민감도가작아진 것이다.
과거에 비해 환율 하락이 국내 고용에 미치는 영향도 축소됐다.
24일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발표한 '한국경제의 환율변동에 대한 민감도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산업구조 및 투입산출구조를 기준으로 한 원화절상에 대한부가가치 민감도는 -0.05%로 6년 전인 2005년(-0.15%)보다 큰 폭으로 축소됐다.
이는 당시 원화가 10% 절상될 경우 생산 및 판매 과정에서의 부가가치 민감도가2005년 -0.92%에서 2011년 -1.01%로 마이너스 효과가 커졌으나, 같은 기간 지출 측면의 민감도는 0.77%에서 0.95%로 더 큰 플러스 효과가 나타난데 따른 것이다.
이정훈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한국경제는 수출 제조업의 비중이 확대되면서 원화 절상이 부가가치를 떨어뜨려 왔지만, 이보다 최종재 수입 비중이 더크게 늘어나면서 전체 부가가치에 미치는 충격은 축소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우리나라 전체 소비에서 소비재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5년 3.9%에서 2000년 5.1%, 2005년 6.5%, 2011년 7.5%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또 전체 투자 중 자본재 수입 비중은 1995년 10.4%에서 2000년 15.3%로 높아졌다가 2005년에는 10.6%로 낮아졌으나, 2011년에는 다시 14.4%로 급등했다.
그 결과 소비재 수입과 자본재 수입을 합친 최종재 수입이 국내총생산(GDP)에서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7.7%에서 2011년에는 9.5%로 1.8%포인트나 상승했다.
환율 하락으로 고용이 감소하는 폭도 작아졌다.
원화가 10% 절상됐을 때 산업별 고용계수(생산물 1단위 생산에 필요한 노동력의단위 수)를 이용해 산업별 고용 효과를 추산한 결과, 고용 감소 효과는 2000년 -0.48%에서 2005년 -0.37%, 2011년 -0.34%로 민감도가 작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원은 "제조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크지만, 노동생산성이 높아지면서 제조업의 고용 창출 효과가 낮아졌다"며 "그 결과 환율 변화에 따른 고용 민감도도 점차낮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그는 "원화 가치 절상은 수출 의존도가 큰 한국경제 전반의 부가가치를 감소시키는게 사실이지만 산업구조 등의 변화로 환율하락에 따른 피해가 과거에 비해 완화된 측면이 있어 환율정책에 대한 비용과 효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진단했다.
faith@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