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XR 전용 OS 전격 출시
구글은 12일(현지시간) XR OS ‘안드로이드 XR’을 공개했다. XR 헤드셋과 스마트안경에 특화된 OS다. 구글은 새 OS를 기존의 모바일 OS인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개발했다. 기존에 앱마켓 ‘구글 플레이’에 입점해 있던 각종 모바일 및 태블릿 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샤흐람 이자디 구글 XR부문 부사장은 “10여년 전 구글이 ‘모두를 위한 컴퓨팅 환경의 변화’라는 아이디어에서 출시한 안드로이드는 스마트폰을 넘어 태블릿, 시계, TV, 자동차 등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고 있다”며 “이제 구글은 미래를 향한 다음 단계로 나아간다”고 밝혔다.구글은 이날 안드로이드 XR이 탑재된 스마트안경 기술을 예시로 보여줬다. 한국어 메뉴판을 스마트안경으로 바라보자 영어로 자동 번역돼서 나오고, 가는 길 위에 구글지도 기반의 경로가 표시되는 게 대표적이다. 구글은 안드로이드 XR 기반의 삼성의 XR 기기에 유튜브·구글지도·구글 포토 등 자사 기존 앱은 물론, 지난 1월 삼성전자 갤럭시 S24에 탑재됐던 ‘서클 투 서치’ 기능이 최적화돼 탑재될 것이라고 밝혔다.
안드로이드 XR의 핵심 파트너사는 삼성전자다. 지난해 2월 구글이 삼성전자, 퀄컴과 XR 분야 파트너십을 선언한 지 1년10개월 만이다. 구글은 이날 안드로이드 XR이 내년 출시되는 ‘프로젝트 무한(Moohan)’이라는 코드명이 붙은 삼성전자의 첫번째 XR 기기에 탑재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삼성전자의 새 XR 스마트안경은 다음달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리는 ‘갤럭시 25 언팩’에서 공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해당 기기에는 구글이 전날 발표한 인공지능(AI) 비서 ‘제미나이 2.0’이 탑재될 전망이다.
구글은 안드로이드 XR을 XR 시장에서의 표준 OS로 확립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링스 소니 엑스리얼 등과 협력해 광범위한 안드로이드 XR 기기 개발을 독려하고 매직리프와의 협력을 통해 인공지능(AI) 기반의 미래 XR 기술과 제품 개발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모바일 OS 안드로이드를 운영했던 방식처럼 다양한 XR 기기 제조사에 자사의 OS를 탑재하고, 앱 개발자를 지원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메타·애플 선점한 XR 시장 경쟁 격화
구글이 XR 시장에 본격적으로 다시 뛰어든 것은 10여년 만이다. 구글은 빅테크 업계에서 가장 빠른 2013년 증강현실(AR) 스마트안경 ‘구글 글래스’를 출시했지만 곧 판매를 중단하며 사실상 XR 시장에서 철수했다. 당시 기술로는 스마트 안경의 기능이 전화 및 메시지 받기 등에 그쳐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판단에서였다.하지만 AI의 급격한 발전은 XR 시장에도 큰 변화를 불러왔다. 메타(퀘스트)와 애플(비전 프로) 등은 지난해부터 XR 기기 출시를 본격화하며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구글은 자체 하드웨어로 시장에 진출했던 2013년과 달리 이번에는 가장 강점이 있는 소프트웨어에 집중하고, 하드웨어(삼성)와 내장 반도체(퀄컴)는 업계 선두주자들과 협력하는 방식으로 시장 재진출을 꾀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2분기 기준 글로벌 XR 시장에서 메타는 74%의 점유율로 선두를 달리고 있다. 그 뒤를 피코(8%), DPVR(4%), 애플(3%), 소니(3%) 등이 뒤따르고 있다. 애플은 지난 1분기까지만 해도 16%의 점유율로 2위 업체였지만 비전프로의 지나치게 높은 가격(3499달러)에 고전하고 있다. 최원준 삼성전자 MX사업부 개발실장은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고객들이 부담을 느낄 수 있는 가격대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며 비전프로보다 낮은 가격대로 제품을 출시할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 가운데 삼성과 구글의 참전은 글로벌 XR 시장에 큰 충격파로 다가올 전망이다. 구글이 단순 XR 기기를 내놓는 게 아니라 XR OS를 먼저 내놓고 삼성전자와 협력해 최적화된 기기 출시를 예고했기 때문이다. 이자디 부사장은 “안드로이드 XR은 AI·AR·VR 분야에서의 구글의 오랜 투자를 바탕으로 헤드셋과 안경에 혁신적인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며 “구글은 수십억 명의 이용자에게 안드로이드를 제공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안드로이드 XR 관련 개발자 및 기기 제조사 생태계를 더욱 풍성하게 조성해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