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72.29

  • 32.38
  • 1.29%
코스닥

681.97

  • 12.42
  • 1.79%
1/3

G2 이름값 못하네…전 세계 주식자금 절반 美에 쏠렸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전 세계 증시에 투자된 자금 절반이 미국 기업에 쏠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회사들이 생성형 인공지능(AI) 등 성장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면서다. 반면 경기 침체로 중국 정보기술(IT) 기업들이 힘을 쓰지 못하면서 미·중 간 시총 격차가 사상 최대로 벌어졌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금융정보업체 팩트셋 자료를 인용해 지난 2일 기준 미국 상장사들의 시총 합이 51조달러(약 6경7723조원)로 집계됐다고 6일 보도했다. 시총 규모는 최근 뉴욕증시가 강세를 보인 덕에 지난해 말 대비 1조4000억달러(약 1859조원) 늘었다. 작년 4분기 호실적을 낸 아마존과 메타 두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 시총만 5100억달러 불어났다.

시총 상위 500대 기업 중 절반 가까운 236개 사가 미국 기업이었다. 미 기업들이 세계 전체 시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8.1%로, 2003년 9월 이후 최고치로 높아졌다.

중국 상장사들의 시총 합(홍콩 증시 상장사 포함)은 10조달러(약 1경3272조원)였다. 전 세계 시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불과했다. 중국 경제가 7%대 성장률을 유지하던 2015년 한때 20%까지 높아졌던 이 수치는 9년 만에 반토막이 났다. 미국과의 격차는 관련 데이터가 있는 2001년 이후 사상 최대로 벌어졌다.



중국 증시에선 올해 들어서만 1조7000억달러(약 2257조원)가 증발했다. 부동산 위기에서 촉발된 경기 침체 우려로 국내외 모두에서 투자 심리가 꺾인 탓이다.

시총 상위 500대 기업 중 중국 기업은 35개뿐이었다. 중국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와 전자상거래 기업 징둥닷컴, 전기차 업체 웨이라이(니오)가 500대 기업 리스트에서 줄줄이 탈락했다. 3년 새 미국 기업은 15% 늘었고, 중국 기업은 60% 줄었다. 알파벳이 사상 최대 실적을 내는 동안 알리바바는 소비재 부문 사업부 매각을 검토하는 실정이다.

AI 등 최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경쟁에서도 뒤처진 것이 주효했다. 조 바이든 미 행정부의 제재로 첨단 반도체 공급선이 차단되면서 중국 정보기술(IT) 기업들의 성장에 큰 제약을 가했다. 2020년 말 전 세계 시총 7위, 9위였던 텐센트와 알리바바는 엔비디아(6위), 일라이릴리(9위) 등에 자리를 내줬다. 이들 두 기업의 시총은 올해 들어서만 310억달러 빠졌다. 같은 기간 중국 1위 반도체기업 SMIC(중신궈지) 시총도 25% 쪼그라들었다.

중국 정부가 자국 IT 기업들을 대상으로 고강도 규제를 가하며 정책적 불확실성을 키웠다. 미 자산운용사 배런캐피털은 지난해 4분기 주력 펀드에서 통상 30%로 유지되던 중국 주식 비중을 0%로 대폭 줄였다. 2012년 운용 개시 이래 최초였다. 알렉스 우만스키 배런캐피털 매니저는 “시진핑 체제에서의 규제 리스크와 지정학 변수를 고려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에선 일본, 인도 등 대체 투자처들이 떠오르면서 중국 증시의 투자 매력을 한층 낮추고 있다. 시총 상위 500대 기업 중 인도 기업은 21개 사로, 지난 3년 새 두 배로 늘었다. 일본에선 도요타 시총이 증시 역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대만 TSMC, 한국 삼성전자와 아시아 3위 자리를 놓고 다투고 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