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벅 라테로 계산한 적정 환율은?
구매력평가설은 영어로 ‘purchasing power parity’라고 한다. PPP라는 줄임말로 많이 쓴다. 보통 구매력평가설로 번역하지만 원어의 의미를 살려 ‘구매력 동등성’이라고 하는 것이 이해에 도움이 된다.구매력평가설의 기본 가정은 같은 금액의 돈은 어느 나라에서든 ‘동등한 구매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스타벅스 카페라테가 5000원이라면, 미국 스타벅스 라테의 원화 환산 가격은 5000원이어야 한다.
이런 가정에 따라 ‘적정 환율’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만약 스타벅스 라테가 한국에서 5000원, 미국에서 5달러라면 적정 원·달러 환율은 1000원이다. 구매력평가설에 따라 환율을 계산하는 공식은 e=P/Pf로 나타낸다. 여기서 e는 명목 환율, P는 자국 물가, Pf는 외국 물가다. 이 공식이 의미하는 바는 국내 물가가 외국 물가에 비해 크게 오르면 국내 통화가치는 하락(환율 상승)하고, 국내 물가가 안정되면 통화가치는 상승(환율 하락)한다는 것이다.
‘비교역재’ 반영 못하는 한계
구매력평가설은 환율을 물가의 함수로 본다. 각국의 물가 수준을 비교해 적정 통화 가치를 산출한다. 물가 변동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도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구매력평가설로 계산한 환율은 실제 환율과 들어맞지 않을 때가 많다. 물가 외에 다양한 변수가 환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론 자체도 몇 가지 한계를 지닌다.구매력평가설은 ‘비교역재’를 감안하지 않는다. 나이키 운동화는 국경을 넘어 운반된다. 즉, 교역재다. 그러나 나이키 운동화 가격에는 나이키 매장의 임차료와 종업원 인건비, 세금 등 비교역재도 영향을 미친다. 이런 요소를 제외한 채 소비자가격만으로 두 나라의 물가 수준을 비교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운송 비용도 생각해야 한다. 같은 상품이라도 한국으로 가져갈 때와 미국으로 가져갈 때 운송 비용에 차이가 있다. 시장 상황도 다르다. 선진국에선 일상적인 기호품인 상품이 개발도상국에선 비싼 사치품일 수 있다.
스벅은 비싸고 빅맥은 싸다
구매력평가설에 입각해 각국의 물가 수준을 비교한 지표로 유명한 것이 스타벅스 지수다. 각 나라의 스타벅스 톨 사이즈 라테 가격을 달러로 환산했다. 데이터 분석 기업인 비주얼 캐피털리스트에 따르면 한국의 스타벅스 지수는 4.11달러다. 본고장 미국(3.26달러)보다 비싸다. 원화 가치가 달러에 비해 고평가됐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국 물가가 너무 비싸다는 해석도 가능하다.스타벅스 지수에 앞서 나온 것으로 빅맥 지수가 있다. 스타벅스 라테 대신 맥도날드 빅맥 햄버거를 기준으로 계산한 것이다. 올 1월 기준 한국의 빅맥 지수는 3.97달러, 미국은 5.36달러다.
구매력평가설이 지니는 한계는 스타벅스 지수와 빅맥 지수에도 나타난다. 임차료, 인건비, 세금 등이 반영되지 않는 것이다. 다만, 나라별 환율과 물가 수준을 비교하는 참고 지표로는 활용할 만하다. 많은 경제학자는 구매력평가설로 장기적인 환율 변동을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