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코로나로 문닫은 호텔, 고급주택 변신 중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코로나19 지속으로 경영난을 견디지 못한 전국의 유명 호텔들이 주상복합과 오피스텔 등 주거시설로 속속 변신하고 있다. 도심 번화가에 있는 호텔 부지에 고급 주택을 지으려는 건설·시행사와 사모펀드가 앞다퉈 개발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최근 방역조치 강화로 중국발 수요 회복이 더뎌질 것으로 예상돼 주요 호텔의 폐업과 재건축 사례는 이어질 전망이다.
○고급주택으로 변신하는 호텔
6일 부동산 개발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권에만 5~6개 호텔 부지에서 고급 주택 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서울 강북과 지방 관광지의 호텔 부지를 중심으로 주택 개발 사업이 활발하다. 부동산 개발업체인 신영은 지난해 인수한 서울 논현동 힐탑호텔을 철거한 후 주거시설로 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서울 역삼동 르메르디앙호텔은 현대건설 등이 최고 31층 대형 상업·업무·주거 복합시설을 짓기로 하고 인허가 작업에 착수했다. 강남의 첫 특급호텔이었던 반포동 쉐라톤서울팔래스호텔도 개발 대상이다. 시행사 더랜드는 2021년 폐업한 뒤 그 부지에 고급 아파트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시행사 미래인도 청담동 프리마호텔 자리에 고급 빌라 건설 사업을 추진 중이다. DL그룹도 코로나19 사태를 못 버티고 논현동 글래드라이브강남호텔을 매각했다. 시행사 티마크가 이 부지에 주거용 오피스텔을 건설 중이다.

서울 이태원동에서 40여 년간 운영된 크라운호텔은 현대건설과 코람코자산신탁 등에 팔려 150가구 규모의 아파트와 주거용 오피스텔로 탈바꿈한다. 독산동 노보텔앰배서더 부지에선 주상복합(284가구) 공사가 한창이다.

호텔 부지에 고급 주거시설을 짓는 이유는 입지 여건이 뛰어나 선호도가 높아서다. 이들 호텔은 지하철역과 상업시설 등 기반시설이 잘 갖춰진 게 공통점이다. 2015년 매각된 청담동 엘루이호텔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고급빌라 ‘펜트하우스 PH129’로 바뀐 뒤 유명 연예인과 운동선수들이 입주하며 유명해지고 있다.
○관광업 부진으로 호텔 재개발 늘 듯
지방 주요 관광지에 있는 호텔도 개발에 속도가 붙고 있다. 제주시 도심에서 가장 높은 건물로 유명했던 제주칼(KAL)호텔은 작년 부동산 개발사에 매각됐다. 매수자 측은 주상복합 아파트 건설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 유성구에서 107년째 운영되고 있는 유성호텔도 조만간 영업을 끝내기로 하고 건물과 땅 매각에 나섰다. 시행사와 금융기업, 부동산신탁사가 컨소시엄으로 인수해 상업 주거 등 복합시설을 개발하는 방안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호텔의 주거시설 변신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계속되는 관광업 부진으로 폐업을 고민 중인 호텔이 적지 않아서다. 서울 논현동에서 32년간 영업해온 5성급 임페리얼팰리스 호텔은 작년 1월부터 무기한 휴관 중이다. 업계는 건물과 부지가 매각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한다. 마포구 서울가든호텔은 인력 구조조정 등 자구 노력에도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다. 호텔 운영기업 측은 이 부지에 공동주택(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 44가구와 주거용 오피스텔 149실을 짓는 등의 정비계획변경 등 인허가를 받고 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