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건 외교부 1차관이 “직전 올림픽 주최국의 역할을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미국과 서방 국가들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베이징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움직임에 사실상 불참을 시사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호주 방문도 중국 견제 차원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최 차관은 9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평창, 동경 그리고 북경으로 이어지는 동북아 릴레이 올림픽이고 상당히 의미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저희는 어떤 결정도 하고 있지 않다”며 외교적 보이콧 움직임과 관련해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도 전날 “우리 정부는 내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우리 정부의 참석과 관련해 결정된 바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보이콧을 검토하지 않았단 우리 정부와 달리 국제사회에서 베이징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움직임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미국이 지난 6일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집단 학살과 반(反)인도적 범죄 등 인권 유린이 계속되고 있다”며 처음 선언한데 이어 뉴질랜드, 호주, 영국, 캐나다가 차례로 뒤따랐다. 이들은 모두 첩보동맹 ‘파이브아이즈’, 안보 동맹 ‘오커스(AUKUS)’에 속해있는 미국의 핵심 동맹국들이다. 일본 정부도 외교적 보이콧에 대해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날 개최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주도의 ‘민주주의 정상회의’에서 외교적 보이콧 동참을 선언하는 국가들이 늘어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중국 견제용으로 해석되는 이 회의에 100여개국이 참석할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문 대통령도 참석한다.
최 차관은 오는 12일 문 대통령의 호주 방문이 대중(對中) 견제 차원이라는 해석에도 선을 그었다. 최 차관은 “우리는 그런 (중국 견제) 의도는 전혀 없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영국을 방문하면 중국 견제고, 미국을 방문하면 중국 견제냐”고 반문했다. 이어 “우리의 필요에 따라 주요 파트너와 언제든 협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