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대출 죄기에 따라 가계대출 문턱이 높아지고 시장금리가 급등하면서 은행 대출금리가 빠르게 치솟고 있다. 주요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약 한 달 새 0.5%포인트 올라 5%대 진입을 눈앞에 뒀다. 지난 8월만 해도 고신용자라면 어렵지 않게 받을 수 있었던 2%대 금리는 자취를 감췄다.
대출 금리 상승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이 전세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 관리 강화에 연일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데다 한국은행도 다음달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취급액 코픽스 기준)는 18일 기준 연 3.031~4.67% 수준이다. 8월 말(연 2.62~4.19%)에 비해 불과 한 달 반 사이에 0.41~0.48%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도 같은 기간 연 2.92~4.42%에서 연 3.14~4.95%로 올랐다. 최고 금리는 0.53%포인트 뛰어 5%대 금리에 근접했다.
시장금리 급등에 은행들 가산·우대금리 조정
가파른 대출 금리 상승세 뒤에는 우선 시장금리 급등이 있다. 지난 8월 한국은행 기준금리 상승 이후 수신 금리가 소폭 오른 데 이어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시장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있다. 은행 입장에서는 대출 원가가 오른 셈이어서 이와 연동한 대출 금리도 따라 오르게 된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신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9월 1.16%로 전달(1.02%)보다 0.14%포인트 뛰었다. 2017년 12월(0.15%포인트)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이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금리를 가중평균한 값이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과 금융채·양도성예금증서 등의 금리 변동이 반영된다. 코픽스가 올랐다는 것은 은행이 대출에 쓸 자금을 조달하는 데 드는 비용이 전보다 늘었다는 뜻이어서 그만큼 대출 금리도 오르게 된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또 다른 지표인 금융채 금리도 연일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은행채 5년물(AAA) 금리는 지난 8월 말 1.891%에서 15일 현재 2.342%로 0.451%포인트 올랐다.
하지만 이보다 대출 금리를 더 빠르게 밀어올리는 것은 은행별 가산·우대금리 축소 조치다. 은행들은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 규제에 따라 대출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해 가산금리를 올리고 우대금리를 대폭 깎는 방식으로 대출 금리를 잇달아 올리고 있다.
기준금리 추가인상에 가계부채 죄기도 계속
대출금리 상승세 더 이어질 듯
대출 금리 상승세는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5일 국정감사에서 "(한국은행의) 경제 예상에 따르면 11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해도 큰 어려움이 없지 않을까 예상한다"며 사실상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예고했다. 대출금리 상승세 더 이어질 듯
이에 따라 대출자의 이자 부담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연내 추가로 0.25%포인트 오를 경우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지난해 말보다 5조8000억원 더 늘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대출자 1인당 연간 이자 부담 규모는 같은 기간 271만원에서 301만원으로 30만원 더 늘어난다.
다만 이는 지난 8월 0.25%포인트 인상에 이어 오는 11월 추가 인상으로 가계 대출금리가 올해 총 0.5%포인트 오르는 것을 가정한 결과다. 기준금리보다 실제 가계에 적용되는 대출금리의 상승폭이 더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대출자가 부담하는 이자는 이보다 더 많이 늘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가계대출 고삐를 더욱 죄겠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최근 실수요 중심의 전세대출은 연말까지 가계대출 총량 관리(연 증가율 6%대)에서 제외해주는 대신 나머지 가계대출에 대한 관리는 더욱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금융당국은 다음주께 추가 가계부채 관리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대출 종류를 불문하고 대출자의 전체 대출 원리금 규모를 소득 대비 40% 이내로 줄이는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앞당겨 확대 도입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