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들어 서울에서 아파트 세입자가 매매로 갈아타기 위한 자금이 2.7배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25개 자치구 중에서 1억원 미만을 보태 집을 살 수 있는 지역은 4년 전에는 11곳이었지만, 이제는 아예 없어졌다.
12일 김상훈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6월~2021년 6월간 서울 아파트 시세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 현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시세와 전세시세 차이가 4억4748만원이었다. 다시 말해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기 위해서는 평균 4억4000여만원의 비용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러한 간격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후 급격히 벌어졌다. 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6월에는 시세차가 1억6691만원에 불과했지만, 이듬해인 2018년 6월에는 2억4567만원이 됐다. 이후 △2019년 6월 3억1946만원 △2020년 6월 4억1717만원 △2021년 6월 4억4748만원 등의 순으로 매년 비용이 증가했다. 이로써 4년 동안 세입자의 내집마련 비용이 2.7배나 늘어난 셈이다.
자치구 중 매매·전세 시세차이가 가장 큰 곳은 강남구였다. 2021년 6월 현재 9억1064만원에 달했다. 다음으로 △용산구 8억1625만원 △서초구 7억9122만원 △송파구 6억2048만원 △성동구 6억1961만원 순이었다. 이 밖에 영등포구, 양천구, 동작구, 마포구 등도 평균 4억원 이상의 매입비용이 필요했다.
또한 2017년 6월 당시, 전체 25개 자치구 중 매매 갈아타기 비용이 1억 미만인 곳이 11곳이이었다. 하지만 5년여가 지난 현재 1억 미만인 자치구는 단 한 곳도 없었다. 서대문구는 매매·전세차이가 8939만원에서 3억4699만원으로 급증했고, 노원구에서도 7252만원이었던 간격이 2억8757만원으로 벌어졌다. 6710만원으로 격차가 가장 적었던 구로구조차도 집을 사기 위해서는 평균 2억5667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상훈 의원은 "5년 전만해도 서울에서 전세로 살면서 1억만 모으면 내 집 마련이 가능했다”라며 "문재인 정부는 곧 퇴장하지만, 망가뜨린 주거사다리는 두고두고 국민을 힘들게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뉴스